컨텐츠 바로가기

12.12 (목)

한강, 한국인 최초로 노벨상 시상식 블루카펫 밟아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사에서 열린 연회에서 참석자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강이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2024 노벨상 시상식에서 스웨덴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으로부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강이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2024 노벨상 시상식에서 스웨덴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으로부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뒤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소설가 한강(54) 작가가 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 여성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목에 거는 영예를 안았다.

10일 오후(이하 현지시간)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의 랜드마크인 콘서트홀에서 열린 2024 노벨상 시상식에서 한 작가는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문학상을 수여 받았다.

국왕이 입장하자 오케스트라 연주로 모차르트의 행진곡이 울려 퍼지며 검정색 드레스를 입은 한 작가가 다른 수상자들과 함께 입장해 시상식장 무대 중앙 왼편에 마련된 자리에 앉았다.

그는 부문별 시상 순서에 따라 네 번째로 국왕에게 노벨상 메달과 증서(diploma)를 받았다. 시상 순서는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 문학상, 경제학상 순이다.

수상자들이 받는 노벨상 증서는 매년 다른 삽화가 들어간다. 특히 문학상 수상자에게 주어지는 증서는 가죽으로 된 양피지로 제작돼 특별함을 더한다.

노벨상 시상식이 콘서트홀에서 열리기 시작한 1926년 이래 한국인이 이곳에 깔린 '블루카펫'을 밟은 것은 약 한 세기 만에 처음이다. 노벨평화상 시상식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고 있어 2000년 수상자인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오슬로 시상식에 참석했다.

한 작가는 역대 121번째이자 여성으로는 18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다. 아시아인이 노벨문학상을 받는 것은 2012년 중국 소설가 모옌 이후 12년 만이다.

한림원 종신위원인 스웨덴 소설가 엘렌 맛손은 시상에 앞선 5분가량의 연설에서 한강의 작품들에 대해 "형언할 수 없는 잔혹성과 돌이킬 수 없는 상실감에 대해 말하고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진실을 추구하고 있다"고 평했다.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10월 10일 한 작가를 수상자로 선정하며 그의 작품들을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고 평한 바 있다.

시상식에는 1500여명이 자리했으며 연회에는 1200여명이 참석했다.

한 작가는 시상식 후 스톡홀름 시청 내 블루홀에서 열린 이어진 만찬에서 소감을 밝혔다.

그는 "문학을 읽고 쓰는 작업은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며 "우리를 서로 연결해 주는 언어, 이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품게 된다"고 영어로 말했다.

한 작가는 지난 7일 수상자 강연(lecture)에서처럼 여덟 살 때의 기억을 회상하며 소감을 시작했다. 강연에서는 여덟 살 때 쓴 '시집'에 나온 한 시를 회상하는 것을 시작으로 자신의 작품 세계 전반을 돌아봤다.

한 작가는 "읽고 쓰는 데 보낸 시간을 되돌아보면서 저는 이 경이로운 순간을 반복해서 경험했다"며 "언어의 '실'을 따라 또 다른 마음 깊은 곳으로, 다른 내면과의 만남,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질문을 그 '실'에 맡기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한 작가는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난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 ' 등은 수천 년 동안 문학에서 제기돼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가 이 세상에 잠시 머무르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 우리가 인간으로 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가장 어두운 밤에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묻는 언어가 있다. 문학상이라는 상의 의미를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다"며 "감사하다"는 말로 소감을 마무리했다.

한편, 한 작가는 오는 12일 '노벨문학상 수상자의 밤' 행사에 참여한다.

그는 시상식에 앞서 ‘노벨 주간’의 여러 행사에 참석하며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지난 6일 노벨박물관 소장품 기증식에서는 ‘찻잔’과 소장품과 관련한 짧은 메시지를 전달했다. 같은 날 오후에는 국내외 언론과 만나 첫 공식 기자회견을 가졌다.

다음날인 7일 노벨문학상 수상자 강연에 이어 8일에는 노벨상 콘서트에도 참여했다. 또 이날 오후 스톡홀름 시청 맞은편에서 열린 '문학의 밤' 행사에선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가 한국어와 스웨덴어로 낭독돼 심금을 울렸다.

특히 한 작가는 수상 기념 기자회견에서 "2024년에 다시 계엄 상황이 전개되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 바라건대 무력이나 강압으로 통제하는 과거의 상황으로 돌아가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한국의 계엄 사태를 언급해 현지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소년이 온다'와 관련해 "그곳에서 학살이 벌어졌을 때 나는 아홉 살이었다"며 "몇 해가 흘러 서가에 거꾸로 꽂힌 '광주 사진첩'을 어른들 몰래 읽었을 때는 열두 살이었다"고 개인적인 경험을 털어놓기도 했다.

또 "인간이 잔혹성과 존엄함이 극한의 형태로 동시에 존재했던 시공간을 광주라고 부를 때 광주는 더 이상 한 도시를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가 된다는 것을 나는 이 책을 쓰는 동안 알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가 지난 2014년 발표한 '소년이 온다'는 계엄령이 선포됐던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실존 인물인 고 문재학씨 이야기에 약간의 상상을 가미한 장편소설이다.

열다섯 어린 소년이 겪은 비극적 사건과 다양한 감정들, 죽음을 마주한 두려움, 홀로 살아남았다는 죄책감, 계엄군과 정부에 대한 분노는 문학 작품으로 승화돼 한국을 넘어 전 세계에 감동을 준 바 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