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 참석하며 권영세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2024.12.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차 탄핵소추안 표결을 예고한 가운데 국민의힘 내부에서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와 방식 등을 두고 격론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사태의 조기 수습과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정국안정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조만간 결론을 내기로 했다.
10일 국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전날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와 4선 이상 중진회의에 이어 긴급 의원총회 등을 잇따라 열어 이른바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과 관련한 당내 의견을 취합했다.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5시간 가량 진행된 의총에선 윤 대통령의 거취와 관련해 하야를 통한 조기 퇴진과 개헌 후 임기단축부터 2차 탄핵안 표결 참여 여부에 이르기까지 백가쟁명식 의견이 분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일 당론으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불참한 이후 여론이 급속히 악화하고 있는 데다 11일 2차 탄핵안 발의, 14일 표결을 예고한 더불어민주당의 공세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어서다. 특히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에 사실상 반대하는 '친윤계'(친윤석열계)와 달리 '친한계'(친한동훈계) 등 '비윤계'를 중심으로 윤 대통령이 사태 수습을 위해 구체적인 퇴진 시점을 밝혀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고 한다.
친한계인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4선 이상 중진 모임에 참석한 뒤 취재진과 만나 '윤 대통령이 스스로 물러나는 시기를 먼저 말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친한계인 김종혁 국민의힘 최고위원도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질서 있는 퇴진'을 위해 대통령실에서 하야에 대한 입장과 일정을 조속히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역시 친한계인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도 BBS 라디오에서 "1년 이내건 6개월 이내건 '질서 있는 퇴진'을 하는 것이 훨씬 더 사회 안정이 도움이 된다"며 윤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했다.
당내 비주류인 4선 중진 김태호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중진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탄핵보다 더 빠른 조기 대선이 지금의 혼란을 막는 길"이라며 "더 큰 혼란을 결국 막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정치 일정을 빨리 제시해야 된다. '벚꽃 대선'이란 표현을 썼지만 탄핵보다 더 빠른 조기 대선이 우리 국민의 뜻과 지금의 혼란을 막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연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를 저격하고 있는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윤 대통령을 향해 "질서 있는 하야 대책을 내놓고 나라를 정상화하는 방안을 찾으라"며 "당이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의총에선 일부 친한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오는 14일로 예정된 2차 탄핵안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후 긴급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탄핵안 표결에 참여하는 쪽으로 얘기가 오가고 있느냐'는 질문에 "아직 결정된 건 아니다"라면서도 "그 방향으로 의원들이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 의원은 특히 "(2차 탄핵안)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냐'는 거듭된 질문에 "많이 있다"고 답했다. 의총에 참석 중인 국민의힘 한 초선 비례대표 의원도 사견을 전제로 "다음에는 표결에 참여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반면 다수 중진들과 친윤계 등은 탄핵은 물론 조기 퇴진 등 하야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 대신 퇴진 시기를 최대한 미루는 개헌을 통한 임기 단축 쪽에 무게추가 실려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상현 의원은 "탄핵에 반대하고 일각에서 조기 대선도 말하는데 저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조기 대선에도 반대한다"고 했다.
윤 의원은 특히 한 대표가 주장한 윤 대통령 직무 배제에 대해 "헌법적, 법률적으로 대통령은 아직 직무 배제가 되지 않았다"며 "직무 배제는 정치적인 의미일 뿐 헌법과 법률적으론 직무 배제된 게 아니다"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의 거취 문제를 포함한 국정 수습 방안을 이날 구성한 '정국안정 태스크포스'(TF)에서 논의해 결론을 도출한 후 의총과 최고위원회 등 당 최고 의사결정기구에서 최종 논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국안정 TF 단장으로 선임된 이양수 의원은 "임기 단축과 하야 등을 포함한 질서 있는 퇴진 방안과 시한 등을 TF에서 제한없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박상곤 기자 gonee@mt.co.kr 천현정 기자 1000chyun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