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엔비시(NBC) 방송과 인터뷰하고 있다. 엔비시 화면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하자마자 합법·비합법 체류 자격이 섞인 가족 전체를 비롯한 이민자 대량 추방과 ‘1·6 의사당 난동’ 관련자 즉각 사면 등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당선 뒤 언론과 한 첫 본격 인터뷰에서 그는 여러 분야에서 공격적 정책을 펼 것임을 예고했다.
트럼프는 8일(현지시각) 방송된 엔비시(NBC) 인터뷰에서 취임 직후 시행할 미등록 이민자 대량 추방과 관련해 “나는 가족을 해체하고 싶지 않다”며 “가족을 해체하지 않는 유일한 방법은 그들을 모두 함께 돌려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합법적 체류 자격이 있더라도 가족 중 체류 자격이 없는 사람이 있다면 함께 추방하겠다는 뜻으로, 그가 이제까지 밝혀온 것들 중 추방 대상을 가장 광범위하게 지목한 것이다.
미국에는 합법·비합법 체류 자격이 혼재된 가정이 470만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트럼프의 말은 예를 들어 합법적 체류 자격이 없는 부모한테서 태어난 미국 시민권자 어린이가 있다면 그를 포함해 일가족 모두를 추방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트럼프는 다만 어린이 때 합법적 절차 없이 미국에 입국했지만 민주당 행정부가 체류 자격을 인정해준 ‘드리머’들에 대해서는 민주당과 논의해보겠다고 했다.
트럼프는 미국에서 태어나면 자동적으로 미국 시민권을 갖는 출생 시민권 제도는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 제도가 헌법에 규정된 것인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을 없애야 한다”며 강한 추진 의지를 보였다.
트럼프는 ‘1·6 의사당 난동’ 사건으로 처벌을 받은 자신의 지지자 1천여명에 대해서는 “매우 빠르게” 사면 절차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2021년 초 트럼프가 패배한 대선 결과를 뒤집으려고 의사당을 습격한 이들 중에서는 600여명이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22년까지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의사당 난동 사건을 조사한 리즈 체니 전 공화당 의원 등 하원 특별조사위원회 구성원들은 “감옥에 가야 한다”고도 밝혔다. 트럼프는 법무장관이나 연방수사국(FBI) 국장에게 수사를 지시하지는 않겠다면서도 “그들은 이 문제를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그 가족을 수사할 특별검사를 지명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합리적 이유라고 생각할 만한 게 발견되지 않으면 그러지 않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법무장관이나 연방수사국 국장이 스스로 그런 결정을 할 수도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트럼프는 군사동맹과 관세 등 대외 정책 분야에서도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강경하고도 일방주의적인 정책과 통치 방침을 다시 예고했다. 그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미국이 남게 하겠냐는 질문에 유럽 쪽 동맹국들이 “그들의 몫을 낸다면 분명히 남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러지 않는다면 분명히 탈퇴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미국이 유럽의 안보에 돈을 쓰는데 무역에서는 적자를 보고 있다는 불만도 함께 표현했다. 안보와 무역을 결부시켜 동맹국들을 압박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인터뷰 당일인 7일 프랑스 파리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나기도 한 그는 자신이 취임하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가 줄어들 것이냐는 질문에 “물론”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관세가 우리를 부유하게 만들어줄 것”이라며 대규모 관세 부과 정책을 펴겠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그는 자신의 첫 행정부 때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미국인들이 800억달러(약 114조원)를 더 지불했다는 진행자의 지적에 “미국인들은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2026년 6월까지가 임기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의 경질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