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계엄이 해제된 그날 밤.
법무부 장관과 행정안전부 장관, 그리고 법제처장이 대통령 안전가옥에서 만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해가 가기 전에 한번 보자 해서 만났다는데, 계엄이 실패로 끝난 급박한 상황에서 친목 모임을 한 것이냐는 비판과 아무래도 석연치 않다는 여러 의문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준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장소는 서울 삼청동 대통령 안전가옥, 안가였습니다.
세 사람은 대통령과 가깝고 법조인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판사 출신인 이상민 장관은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충암고 1년 후배입니다.
역시 검사 출신인 이완규 법제처장은 윤 대통령의 대학과 사법연수원 동기입니다.
세 사람이 왜 만났느냐고 묻자, 박성재 장관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박성재/법무부 장관 - 장경태/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실은 그날 저희들이 다 사의를 표명한 날이었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국무회의에서 자주 보고 하지만 자리를 못 해서 해가 가기 전에 한번 보자"
박 장관은 그날 대통령을 만나지는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무슨 얘기를 했는지는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박성재/법무부 장관 - 정청래/더불어민주당 의원]
"대통령 만나러 간 게 아닙니다 그날은. <제2의 비상계엄을 또 그러면 얘기했습니까?> 전혀 아닙니다. 전혀 아닙니다."
법무부 장관은 검찰총장에 대한 수사지휘권이 있고, 행안부는 경찰청을 산하에 두고 있습니다.
계엄 선포와 관련해 윤 대통령, 또는 자신들과 관련한 수사 등에 대해 대책을 논의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이유입니다.
MBC뉴스 이준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준희 기자(letswi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계엄이 해제된 그날 밤.
법무부 장관과 행정안전부 장관, 그리고 법제처장이 대통령 안전가옥에서 만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해가 가기 전에 한번 보자 해서 만났다는데, 계엄이 실패로 끝난 급박한 상황에서 친목 모임을 한 것이냐는 비판과 아무래도 석연치 않다는 여러 의문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준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박성재 법무부 장관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이 계엄 해제 당일인 지난 4일 밤 회동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장소는 서울 삼청동 대통령 안전가옥, 안가였습니다.
세 사람은 대통령과 가깝고 법조인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판사 출신인 이상민 장관은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충암고 1년 후배입니다.
박성재 장관은 윤 대통령 초임 검사 시절부터 인연이 깊은 검사 선배입니다.
역시 검사 출신인 이완규 법제처장은 윤 대통령의 대학과 사법연수원 동기입니다.
세 사람이 왜 만났느냐고 묻자, 박성재 장관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박성재/법무부 장관 - 장경태/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실은 그날 저희들이 다 사의를 표명한 날이었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국무회의에서 자주 보고 하지만 자리를 못 해서 해가 가기 전에 한번 보자"
하지만 계엄 선포와 해제로 대한민국이 혼란에 빠진 그날 송년 모임 같은 비공개 회동을 했다는 게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박 장관은 그날 대통령을 만나지는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무슨 얘기를 했는지는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박성재/법무부 장관 - 정청래/더불어민주당 의원]
"대통령 만나러 간 게 아닙니다 그날은. <제2의 비상계엄을 또 그러면 얘기했습니까?> 전혀 아닙니다. 전혀 아닙니다."
박성재, 이상민 장관은 비상계엄 사태 수사에 착수한 검찰과 경찰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 장관은 검찰총장에 대한 수사지휘권이 있고, 행안부는 경찰청을 산하에 두고 있습니다.
계엄 선포와 관련해 윤 대통령, 또는 자신들과 관련한 수사 등에 대해 대책을 논의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이유입니다.
MBC뉴스 이준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준희 기자(letswi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