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24 (금)

여당, 韓 발언 후 종일 의총… 친한계 상당수 “이번 탄핵엔 반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상계엄 파동] “尹, 향후 계획 국민에 밝혀야”

조선일보

국민의힘 의원들이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도중 나와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기호·서범수·나경원·신성범 의원. /김지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앞둔 6일 국민의힘은 종일 의원총회를 열고 갑론을박을 벌였다. 이날 저녁 늦게 추경호 원내대표, 박정하 당대표 비서실장이 윤 대통령에게 의원들의 입장을 전달하고, 여당이 탄핵 부결 당론을 유지하기로 뜻을 모을 때까지 당 안팎에선 논란이 이어졌다.

한동훈 대표가 이날 오전 “윤 대통령 직무 정지가 필요하다”며 ‘탄핵 반대’ 당론과 배치되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 발단이 됐다. 이후 국민의힘 의원들은 탄핵안 표결과 관련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지만 뚜렷한 해법을 내지 못했다. 이날 오후 한 대표가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찾아 윤 대통령을 면담하면서 국민의힘에선 “수습 방안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흘렀다. 하지만 한 대표가 면담을 마치고 국회로 돌아와 의원총회에 참석해 “윤 대통령을 만났지만 내 판단(직무 정지 필요)을 바꿀 만한 말을 듣지 못했다”고 하면서 혼돈이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7시 25분쯤 ‘오전 8시 40분 국회에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한다’고 공지했다. 국민의힘이 지난 4일 ‘반대’ 당론을 정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남겨 두고 한 대표가 예정에 없던 긴급 지도부 회의를 소집하자 국민의힘이 술렁였다. “한 대표가 탄핵 반대 당론을 뒤집는 중대 발표를 하는 것 같다”는 말이 돌면서 의원들은 사실 확인을 하느라 분주했다. 한 대표는 전날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선 “탄핵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었다.

한 대표는 회의가 시작되자 “어젯밤 지난 계엄령 선포 당일(지난 3일)에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 등을 반국가 세력이라는 이유로 고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체포하도록 지시했던 사실과, 대통령이 정치인 체포를 위해서 정보기관을 동원했던 사실을 신뢰할 만한 근거를 통해서 확인했다”고 했다. 이어 “여 사령관이 그렇게 체포한 정치인들을 과천의 수감 장소에 수감하려 했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있었던 것도 파악됐다”며 “새로이 드러나고 있는 사실 등을 감안할 때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 집행 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한 대표가 발언하는 동안 추경호 원내대표는 굳은 얼굴로 정면을 응시했다. 한 대표가 발언을 마치고 회의를 비공개로 전환하려 하자, 친윤계인 김재원 최고위원은 마이크를 켜고 “제가 한 말씀 드리겠다”고 했다. 한 대표는 당직자에게 “비공개로 전환하세요”라고 했지만 김 최고위원은 “저는 최고위원으로서 (탄핵 소추될 만한) 사실관계를 아직까지 확인하지 못했다”며 발언을 이어갔다. 다급한 목소리였다.

추 원내대표는 회의가 끝나자 4선 이상 의원들과 중진회의를 열었다. 권영세 의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표가)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가지고 입장을 바꾸는 건 굉장히 경솔한 일”이라고 했고, 윤상현 의원은 “한 대표 말이 100% 옳다고 해도, 우리는 나름의 전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비슷한 시각 한 대표는 장동혁·정성국 의원 등 친한계와 비공개로 회동했다.

이후 추 원내대표는 오전 11시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지만, 한 대표가 국회를 비우면서 회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그 시각 한 대표는 윤 대통령 면담 요청을 받고 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향했다. 한 대표는 대통령 면담을 마치고 오후 2시 15분쯤 국회로 복귀했고, 오후 3시 재개된 비공개 의원총회에 참석했다. 한 대표와 회동을 마친 윤 대통령이 국회를 찾아 입장을 밝힐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일부 야당 의원들이 국회 진입 저지 시위를 벌였지만, 윤 대통령의 국회 방문은 없었다.

이날 밤늦게까지 진행된 의원총회는 의원들이 자기 생각을 자유롭게 발언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탄핵에 찬성한다고 공개적으로 발언한 의원은 거의 없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다. 친한계로 분류되는 장동혁·박정하·정성국·주진우 의원은 탄핵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한 친한계 핵심 의원은 “내일 탄핵에는 반대하지만 반대할 명분이 있어야 한다”며 “윤 대통령이 앞으로 어떻게 할지 국민에게 약속하는 게 있어야 우리도 질서 있는 퇴진을 위해 이번 탄핵 표결만은 넘어가 줄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윤계와 중진 의원 대다수는 “섣부른 탄핵은 민주당에 정권을 헌납하는 것”이라며 ‘탄핵 반대’ 당론 유지를 주장했다고 한다. 일부 중진 의원들은 탄핵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초·재선 소장파 의원 5명이 전날 제안한 ‘임기 단축 개헌’에 대해 공감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파색이 옅은 한 초선 의원은 “탄핵에 찬성할 것 같다고 지목된 몇몇 친한계 의원은 공개 발언 자체를 하지 않아 속내를 읽기 어려웠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과 면담을 마치고 오후 10시 넘어 의원총회에 복귀한 추경호 원내대표는 의원들에게 대통령실에서 진전된 입장을 내놓을 것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고 한다. 국민의힘은 7일 오전 9시 다시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대통령 탄핵 절차

국가원수이자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을 입법부와 사법부의 결정으로 임기 중에 파면하는 것이 대통령 탄핵이다. 국회 재적 의원 과반수가 탄핵 소추안을 발의해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대통령의 권한 행사가 정지되고, 헌법재판소가 대통령이 헌법과 법률을 중대하게 위반했는지를 따져 파면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최대 9인의 재판관 중 6인 이상이 찬성하면 탄핵이 인용돼 대통령이 파면된다. 헌재가 탄핵을 기각하면 대통령은 직무에 복귀한다. 헌재는 탄핵 소추를 접수한 지 180일 안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

[김승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