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전 사표 제출
국정원, 韓 체포 지시 등에 대해 부인
지난 11월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가정보원 홍장원 제1차장(왼쪽)과 윤오준 제3차장이 회의 시작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화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이 6일 오전 사표를 낸 것으로 전해졌으나,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사표를 낸 경과를 설명한다.
정보소식통에 따르면 홍 차장은 이날 오전 사표를 냈고, 해당 사표는 아직 수리되지 않았다. 홍 차장은 현재 정보위에 출석한 상태다.
국정원은 이날 기자들에게 "금일 언론의 국정원 1차장 관련 보도는 사실이 아님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홍 차장에 대한 경질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음을 시사한 것으로, 북한군 러시아 파병 정보 파악 등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신임을 얻던 홍 차장의 사표 제출 경위를 놓고 정보위에서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일 밤 긴급 국무회의에 참석한 조태용 국정원장이 윤 대통령의 계엄선포 추진에 반대 의견을 개진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계엄을 선포했고,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은 홍 차장에게 관련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언론보도에서 당일 윤 대통령이 홍 차장에게 국군방첩사령부와 협력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를 체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전언을 보도했으나, 국정원과 방첩사 모두 사실이 아니라고 이를 부인했다.
한동훈 대표가 이날 오전 긴급최고위원회의에서 "계엄령 선포 당일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들을 반국가세력이라는 이유로 고등학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체포토록 지시했다는 사실, 윤 대통령이 정치인들 체포를 위해 정보기관을 동원했던 사실을 신뢰할 만한 근거를 통해 확인했다"고 주장했지만, 방첩사는 "여인형 사령관이 직접 언론을 통해 윤 대통령에게서 체포나 구금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홍 차장에게 내린 지시 내용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홍 차장이 이날 사표를 낸 것을 놓고 여러 설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언론보도에 제기된 한 대표 체포 지시에 대해 정보당국 측은 "체포할 인력이나 권한도 수사권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김윤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