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학생들이 5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요구를 안건으로 열린 전체 총학생회에서 스마트폰 불빛을 흔들고 있다./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대 전체학생총회(학생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요구 안건이 98.4% 찬성으로 가결됐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5일 오후 8시20분 서울 관악구 서울대 관악캠퍼스 중앙도서관 앞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전체학생총회를 열었다. 학생총회는 학부생 전체를 회원으로 하는 총학생회의 최고 의결기구다. 이날 서울대 재학생 2449명, 휴학생 258명 등 2707명이 참여해 정족수 1551명을 채워 개회요건을 충족했다.
윤 대통령 퇴진 요구 의안에는 △비상계엄 선포를 강력히 규탄하고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할 대통령의 책임을 명확히 묻겠다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에 단호히 반대하고 윤 대통령 퇴진 운동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 △학우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행동하는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를 표명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총학생회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1980년 이후 44년 만에 이루어진 1987년 헌정 체제 이후 초유의 사태"라며 "비상계엄 선포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를 종북 반국가세력으로 전락시키고 국가 기관의 의결을 교란으로 일축하는 부당한 처사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학생총회를 통해 학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결집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한다"고 소집 이유를 밝혔다.
윤 대통령 퇴진 요구 안건은 98.4% 찬성으로 통과됐다. 2556표 중 2516표가 찬성 의견을 냈다. 반대는 4표, 기권은 36표였다.
학생총회에 참가한 서울대 재학생 이모씨(23)는 "원래 정치에 관심이 없었는데 이 시대에 계엄이 내려진다는 게 이해가 안 됐다"며 "사안이 심각한 것 같아 추운 날씨에도 담요를 두르고 나왔다.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장에서 인쇄물을 배포하던 이모씨는 "계엄이 선포된 이튿날 오전 6시에 잠들 정도로 무서웠다"며 "동기들과 선·후배 모두 계엄령과 관련해 다들 분노한 상황이다. 코로나19(COVID-19) 이후 학생회 구성 자체가 쉽지 않았는데 이번 사태를 두고 여러 대학 가운데 최초로 학생 총회를 개최한 것에 자부심이 있다"고 했다.
2017년 성낙인 당시 서울대 총장 퇴진 요구, 2019년 제자 성추행 의혹을 받는 서울대 서어서문학과 교수의 파면 요구와 관련해 서울대 전체학생총회가 열린 바 있다.
━
게시판 가득 채운 대자보 행렬…"윤 대통령, 헌정 질서 전복과 권력 남용 책임지고 하야하라"
━
5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관악캠퍼스 학생회관 앞 게시판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를 비판하는 대자보로 가득찼다./사진=이찬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오전 서울대 학생회관 앞 게시판은 대자보로 뒤덮여 있었다.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김모씨(24)는 "20년도에 입학한 후 게시판이 대자보로 뒤덮인 것을 처음 본다"며 "이번 일은 사안이 워낙 심각한 만큼 학생들 사이에서도 학생회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했다.
김씨는 행정고시를 준비하는 휴학생이다. 총회에 참가하기 위해 오랜만에 학교에 나왔다. 김씨는 "함께 고시를 준비하는 동기들도 오늘만큼은 공부를 제쳐두고 총회에 나오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대자보에는 "사적 위협과 국가비상사태에만 선포하는 계엄을 정치적 대립과 정부 운영의 마비를 핑계로 선포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일" "윤 대통령은 헌정 질서 전복과 권력 남용에 관한 책임을 지고 하야하라" "우리는 헌법과 법률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도 없는 이를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 같은 문구가 담겼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이 해제된 4일 "불의에 항거하는 4·19 민주 이념을 무참히 짓밟은 윤석열의 행위를 규탄한다"며 "진리의 횃불에 어둠이 드리우는 것을 우리는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 국가 권력이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키지 않는다면 기꺼이 권력에 저항할 것이며 불의를 타도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최지은 기자 choiji@mt.co.kr 이찬종 기자 coldbel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