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L-SAM 개발종료 기념행사, 10여 년 개발 끝에 순수 국내기술로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독자개발 완료
김용현 국방부 장관 ‘국방 AI 센터’도 방문, 무인 전투체계 핵심기술 개발 현장 직접 확인
김용현 국방부 장관 ‘국방 AI 센터’도 방문, 무인 전투체계 핵심기술 개발 현장 직접 확인
‘L-SAM ’ 발사 장면. 사진 | 국방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이상배 전문기자] 국방과학연구소(이하 국과연)는 10여년간의 개발 끝에 순수 국내기술로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Long-range Surface-to-Air Missile, 이하 L-SAM) 독자개발에 성공했다.
29일 국과연은 대전청사 과학관에서 ‘L-SAM’ 개발의 성공적 완료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공군 참모총장, 방위사업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발 경과와 주요 성과 보고, 대통령 축전 낭독, 장관 축사, 표창장 및 감사장 수여 순으로 진행됐다.
김용현 장관은 축사를 통해 “‘L-SAM’은 앞으로 우리의 영공을 지키는 ‘수호자’이자 ‘억제자’로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것”이라며,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더라도 우리 군의 견고한 방어망을 뚫을 수 없을 것이며 도발로 얻는 이익보다 ‘정권 종말’이라는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L-SAM’은 미사일 방어 능력의 새로운 지평을 열 우리 군 최초의 ‘탄도미사일 종말단계 상층방어체계’로, 우리 군이 목표로 했던 다층 미사일 방어 능력을 구현하는 기념비적인 무기체계이다.
적 미사일을 높은 고도의 공중에서 요격하여 지상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무기체계인 ‘L-SAM’은 우리 군의 미사일 방어능력을 더 높은 고도, 더 넓은 지역으로 확장하는 최첨단 전력으로 기존의 ‘종말단계 하층 방어체계’인 ‘패트리어트(PAC-3)’와 ‘M-SAM-Ⅱ’에 비해 더 높은 고도에서 북 핵·미사일 위협을 조기에 무력화할 것이다.
‘L-SAM“ 비행 요도. 사진 | 국방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한 ‘L-SAM’ 개발 성공은 대한민국의 첨단 미사일 개발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성과이다. 특히 대기 밀도가 낮은 고고도에서 고속으로 비행하는 적 미사일을 순간적인 위치변환과 미세한 자세 조정을 통해 정확히 타격하여 완전히 무력화하는 ‘L-SAM’의 직격 요격(Hit To Kill) 방식은 소수의 군사 선진국만 보유한 고난도의 정밀유도 기술로, 국과연은 이를 순수 국내 기술로 구현하였다.
우리 군은 ‘L-SAM’의 기술적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혹독한 조건의 다양한 시험을 통해 구성 요소별 성능을 확인하여 기술적 완전성을 검증하였다.
이건완 국방과학연구소장은 “‘L-SAM’의 요격미사일, 장거리 레이다 및 작전통제의 모든 기술적 요소를 독자적으로 완성함으로써, ‘M-SAM-II’에 이어 세계 최고 수준의 미사일 방어체계 개발 능력을 재확인하는 쾌거”라는 소회를 밝혔다.
군은 이번 개발 성공을 토대로 한층 강화된 미사일 방어역량을 더욱 신속하게 구축해 나갈 수 있게 되었으며, ’24년 개발 완료 후 ’25년 양산에 착수하여 전력화 계획에 따라 2020년대 중·후반 군에 배치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행사에 앞서 국방 AI 센터를 방문한 김용현 장관은 현재 연구개발 중인 무인항공기(UAV)와 무인지상차량(UGV) 간 협업 정찰 임무 수행체계의 진행 상황을 확인했다.
김용현 장관은 이 자리에서 “우리 군은 제2의 창군을 한다는 각오로 AI 기반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거쳐, 완전 무인전투체계로 전환해 나가야 한다”라며, “이를 통해 유사시 우리 장병들의 전투손실을 최소화함은 물론, 병력은 줄지만 더 강한 ‘자랑스러운 과학기술 강군’을 만들어 나가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을 강조했다. sangbae0302@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