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K 배터리 위기 끝나고 기회 오나…글로벌 수요 증가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 회복 및 배터리 수요 증가 전망
국내 배터리 기업 등 선발업체 중심 시장 재편 예상


더팩트

국내 배터리 업계가 수요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오승혁 기자] 국내 배터리 업계가 내년 세계적인 수요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기지 운영 및 건설을 지속 중이며, 글로벌 탑티어 기술력을 확보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북미 계약 수주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상반기에 리튬 등의 공급과잉이 해소되면서 배터리 셀과 주요 소재의 가격이 안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1일 미래에셋증권은 '2차전지(비중확대): 위기회(危機會)'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하며 국내 배터리 기업의 수요 증가를 전망했다. 위기회는 위기는 기회와 함께 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표현이다.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에서 배터리 업계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지만, 내년에 선발업체 중심으로 시장 구도가 재편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 캐즘(수요 일시정체)에 리튬 공급과잉 심화로 인한 판매가 하락 지속이 더해지면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2025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2017만대로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중국 13%, 유럽 26%, 북미 30%의 성장률을 전망한다. 특히 북미 시장의 전기차 수요 증가가 클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관련 전책 변화가 있더라도 본격적인 영향은 늦어져 초기 수요 증가를 기대한다. 또한 테슬라의 신규 모델 출시가 수요를 늘릴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수요는 내년에 1088GWh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하는 수치다. 유럽 및 기타 시장에서 리튬인산철(LFP)배터리의 성장이 각각 63%, 50% 예측된다. 북미에서는 하이니켈 배터리가 45% 성장할 전망하고, 유럽 하이니켈 배터리 수요는 내년에 회복해 31%의 증가율을 보일 전망이다.

또한 미래에셋증권은 "보호무역주의가 확대되면서 한국 배터리 밸류체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 내에서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주요 파트너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이 대중국 관세를 인상할 가능성도 있어, 중국 견제는 계속될 전망이다. 중국은 '전기차 굴기'를 통해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배터리 생산능력을 키워왔다. 국내 배터리사들은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의 미국 완성차 브랜드와 협력을 강화하고 현지 공장 건설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국 친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더팩트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 현지 생산공장 건설 및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사진은 LG에너지솔루션 미국 애리조나 공장 조감도. /LG에너지솔루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북미에서 6개 공장을 가동 중이며, 내년부터 16개 공장이 순차적으로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3사의 생산 능력은 2027년까지 연간 610.5GWh에 달할 전망이다. 올해 3분기 LG에너지솔루션은 4660억원, SK온은 608억원의 AMPC를 받았다. 하이투자증권은 오는 2032년까지 배터리 3사가 AMPC 혜택을 통해 받을 보조금이 179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IRA는 배터리와 핵심광물 등의 원산지 요건을 충족하고 자국에서 생산한 전기차에 보조금 최대 7500달러를 세액공제 형태로 제공한다. 이와 별개로 현지에서 생산하는 배터리에 AMPC 혜택을 제공하며, 배터리 셀 1kWh당 35달러의 세액공제가 적용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4483억원, 보조금 4660억원으로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를 제외하면 177억원의 적자를 냈다. SK온은 영업이익 240억원, AMPC 수혜 금액은 608억원으로 368억원 적자다. 삼성SDI의 3분기 영업이익은 1299억원으로 AMPC 금액 103억원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줄어든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현재의 정책 변화가 국내 배터리 업계에 위기처럼 보일 수 있지만, 협상에 따라 전화위복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중국의 BYD, CATL 등 전기차 기업들이 미국 내 배터리 생산 공장 구축을 시도하고 있지만, 미국의 대중국 무역 장벽 강화로 이러한 시도가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자재 공급처를 다각화하고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shoh@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