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법의 심판대 오른 MB

MB·DJ는 전화위복, 朴은 정권 몰락... 대통령 사과 뭐가 달랐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2016년 10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사과하는 모습.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2년 2월 친형 이상득 국회 부의장 비위 의혹을 두고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역대 대통령들의 기자회견은 국민이 궁금한 점을 소상히 설명하고 국정 동력을 회복하는 ‘다목적 카드’로 활용됐다. 대국민 사과를 통해 지지율 반등을 이뤄낸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 단 국민 예상을 웃도는 통렬한 사과, 강도 높은 국정 쇄신이 이뤄질 때에 사과는 빛을 발했다. 7일 기자회견에 나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새겨야 할 대목이다.
한국일보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 사과 전후 지지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모두 저의 탓" "억장 무너져" 사과 아끼지 않은 MB


대국민 소통을 통해 위기를 돌파한 사례로 이명박 전 대통령(MB)이 대표적이다. 이 전 대통령은 취임 1년 만인 2008년 5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여론이 폭발하며 위기를 맞는다. 한국갤럽을 기준으로 취임 1년차 1분기 52%에 달하던 지지율은 1년차 2분기에 21%로 추락했다.

이 전 대통령은 한 달 후인 6월 대국민 담화에서 “국정 초기 부족한 점은 모두 저의 탓이다. 정부가 국민들께 충분한 이해를 구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사과했다. “심기일전해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드는 데 더욱 매진하겠다”며 국정기조 변화도 약속했다. 이 담화를 통해 이 전 대통령 지지율은 1년차 4분기 32%까지 반등한다.

이 전 대통령은 2009년 세종시 이전 철회, 2010년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2012년 친형인 고 이상득 국회부의장 비리 혐의 구속 등 정치적 위기 상황 때마다 사과를 아끼지 않았다. 이 부의장 구속 때는 “검찰 수사를 기다릴까 생각했지만, 먼저 국민께 솔직한 심정을 밝히는 게 최소한의 도리라고 판단해 이 자리에 섰다”며 “억장이 무너진다. 국민 여러분께 사과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후 이 전 대통령 지지율은 집권 3년차 2분기에 49%까지 치솟는 저력을 발휘했다.
한국일보

지난 2001년 12월 28일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2년 신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렬한 책임" "오직 국정에 전념" DJ

김대중 전 대통령(DJ)도 ‘자녀 문제’로 여러 차례 고개를 숙였다. 김 전 대통령은 2002년 아들 홍업·홍걸씨의 비위 의혹이 터지자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사과했다. 혐의가 구체화되면서 비서실장이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과를 대독했다. 두 아들이 모두 구속된 뒤에는 김 전 대통령이 직접 국민 앞에 서서 “자식들을 제대로 돌보지 못한 책임을 통절하게 느낀다”고 사과했다.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할 때는 “남은 임기 동안 여야 협력 속에서 오직 국정에만 전념하겠다”고 선언했다. 김 전 대통령은 집권 5년차 24~33%를 오가는 지지율로 정권을 마무리한다.
한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관저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오찬을 가진 가운데 관저에 도착한 박 전대통령을 마중하며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근혜 "마음 아프게 해드려 송구" 했지만...


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은 달랐다. 박 전 대통령은 2016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대국민 사과를 했다. 2016년 3분기 32%에 달하던 지지율이 4분기 12%까지 폭락하는 등 민심 이반이 거셀 때였다. 박 전 대통령은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치고, 놀라고, 마음 아프게 해드린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동시에 “취임 후에도 일정 기간에는 (최씨로부터) 일부 자료에 대해 의견을 들은 적도 있으나, 청와대 및 보좌 체제가 완비된 이후에는 그만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지지율은 회복되지 않았고, 박 전 대통령 지지율은 5년차 평균 5%를 기록하며 탄핵 절차로 접어들었다. 박 전 대통령 지지율 하락은 해명이 충분치 않고, 쇄신 조치도 부족했던 점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무엇보다 ‘정책 실패’ ‘가족·측근 비위’가 아닌 ‘박 전 대통령 자신의 문제’가 드러난 점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