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고도화…내년 북미 출시 등 글로벌 시장 도전
도이치텔레콤·이앤·싱텔 등도 '파트너십' 전략 강조
SK텔레콤이 'SK AI 서밋 2024'에서 글로벌향 AI 에이전트 '에스터'를 공개하고 글로벌 AI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정석근 SK텔레콤 글로벌·AI테크사업부장(부사장)이 주제 발표를 진행하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인공지능(AI)과 휴먼의 컬래버레이션" SK텔레콤(017670)이 이같은 글로벌향 AI 에이전트(Personal AI Agent) '에스터(A*)'를 내년 북미 시장에 출시한다.
정석근 SK텔레콤 글로벌·AI테크사업부장(부사장)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4'에서 에스터를 최초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정 부사장은 "기존 AI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한 점(페인 포인트)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AI 에이전트 영역의 기회가 왔다"고 설명했다.
AI 서비스를 어떻게 써야할 지 모르겠고, 개인정보가 유출될까봐 걱정인 사용자들을 위해 텔코(통신사업자)가 AI 시대에도 이전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겠다고 봤다는 것이다.
에스터는 단순 질의 응답, 검색을 넘어 사용자의 요청에 스스로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완결적으로 수행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지향한다.
(SK텔레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이번 주말 파티를 위한 저녁 준비를 도와줘"와 같이 요청하면 '치킨을 활용한 샐러드 요리와 칠면조 야채 볶음 중 어떤 것을 원하는지' 등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명확하게 확인한다.
이후 알맞은 레시피를 전달하고 준비물, 요리 순서 등 할 일 목록을 세분화하고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까지 연계해 준다.
올해 클로즈 베타테스트를 거쳐 내년 북미 시장에 선보인다. SK텔레콤은 이외에도 다양한 글로벌 검색 서비스,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사,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앱)들과 전방위적 협력을 추진해 북미 사용자의 AI 경험 혁신에 앞장설 예정이다.
정 부사장은 "글로벌 고객들이 사용하게 될 에스터는 앱 하나지만, 그 기반에는 각 개인·지역·국가별 AI 전 영역을 아우르는 AI 생태계가 뒷받침된다"며 "사용하기 쉽고 활용도 높은 AI 에이전트를 위해 글로벌 테크사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5일 열린 'SK AI 서밋 2024'에서 '생성형 AI 시대, 통신사 중심 생태계 구축과 신사업 기회 탐색'을 주제로 패널 토의가 진행되는 모습. 왼쪽부터 정석근 SK텔레콤 글로벌·AI테크사업부장(부사장), 조나단 아브라함슨 도이치텔레콤 프러덕트&디지털 최고책임자(Chief Product&Digital Officer), 데나 알만수리 이앤(e&) 그룹 AI&데이터 최고책임자(Chief AI & Data Officer), 테런스 라이 싱텔 디지털라이제이션, 프로덕트와 파트너십 총괄 임원(VP), 오마르 타지 티모바일 부사장 및 프러덕트 최고책임자(CPO). (SK텔레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어진 패널토의에서는 도이치텔레콤·이앤(e&)·싱텔 등 임원들이 정 부사장과 함께 '생성형 AI 시대, 통신사 중심 생태계 구축과 신사업 기회 탐색'을 주제로 논의했다.
이들은 AI가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변화하는 기술이라는 데 동의하며, '파트너십' 전략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고객이 이전 방식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을 만한 경험을 구축하는 등 변화에 동참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밖에 데나 알만수리 이앤(e&) 그룹 AI&데이터 최고책임자는 "유엔개발계획과 파트너십을 맺어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기후, 자연재해 복원력 등을 살펴보고 해당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면서 "통신사 측면의 파트너십뿐만 아니라 NGO 및 인도주의 기업과의 파트너십은 우리 커뮤니티를 위해 활력을 불어넣고 구축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flyhighr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