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검색을 돕는 AI로봇 이미지(챗GPT 제작)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 개화하면서 AI 경쟁력을 둘러싼 총성 없는 전쟁이 격화되고 있다. 빅테크들의 각축전이 펼쳐지는 글로벌 AI 주자들은 생성형AI로 승기를 잡고, AI 에이전트에 이어 검색 시장까지 전선을 확대했다. 기술력에서 일단 국내 업체로서는 따라잡기도 버거운 속도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오픈AI, 엔트로픽 등 막대한 자본과 기술력을 앞세운 빅테크들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토종 기업들의 경쟁력을 어떻게 유지하고 확장할 것인가'가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3일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AI 시장은 2023년 1502억 달러(약 200조원)에서 2030년 1조 3452억 달러(약 1800조 원) 규모로 빠르게 팽창할 전망이다. 구글, 오픈AI, 메타 등 글로벌 AI 기업들이 앞서나가며 후발주자와 격차를 벌렸다. 구글은 영화 '아이언맨'의 AI 비서 '자비스'에서 이름을 딴 AI 에이전트를 조만간 공개한다. 사람이 명령하면 PC 화면에서 스스로 마우스를 조작해 스크린샷을 찍고 이를 스스로 해석해 버튼을 클릭하거나 텍스트도 입력할 정도로 진보된 형태가 나올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는 챗GPT에 검색 기능을 추가한 '서치GPT'를 선보이며 영역을 확장시켰다. 검색서비스 1위 업체인 구글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서치GPT는 국내 매체가 보도한 내용을 요약해주거나 뉴스 링크까지 제공해주는 등 국내 검색 시장의 경계까지 한방에 무너뜨렸다. 물론 토종 기업인 네이버의 점유율이 워낙 확고한 만큼 국내 검색 시장 지형도가 당장 급변하진 않겠지만, 빅테크와의 기술 격차가 수년에 걸쳐 이어진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학계와 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실제로 국가 패권 경쟁으로 비화된 AI 기술 경쟁에서 현재 한국은 중상위 수준에 그친다. 영국의 데이터 분석 미디어 토터스 인텔리전스의 '글로벌 AI 지수'를 보면 1위 미국과 2위 중국에 이어 영국, 캐나다, 이스라엘, 싱가포르에 이어 한국이 7위를 차지했다. 8위에서 10위는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다. 주목할 점은 국가별 격차다. 미국(100점)과 중국(63점)은 크게 앞선 상황에서 3위부터 10위까지는 모두 30~40점대로 격차가 크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이 AI 개발의 중요한 터닝포인트라는 의미"라며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3위권으로 치고 나갈 수도 있지만 속도에서 밀리면 순식간에 10위권 밖으로 밀릴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한국이 AI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강력한 AI 컨트롤 타워를 통한 투자, 법 제도 정비,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토터스 인텔리전스 조사에서도 한국은 혁신과 투자, 기반시설에선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인재 확보, 상업성이 문제로 꼽혔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미국이나 중국 등이 막대한 자금을 AI 기술 개발에 투입하는 것은 국가의 미래가 달려있기 때문"이라며 "우리도 예산권을 쥔 정부 컨트롤타워를 통해 AI를 우선순위로 두고 전략적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