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운전면허 학원이 텅텅 비었다고들 하죠.
면허 취득하려는 젊은 층이 줄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면허를 취득한 사람은 5년 만에 총 8만 9천 명이나 줄었습니다.
연령 별로 보니 20대 이하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속도도 빠릅니다.
면허 취득자 감소율이 인구 감소율보다 두 세배 높은 걸로 나타난 건데요.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고도 공유 자전거 등으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이른바 '공유 시스템'이 조성됐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젊은 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비싼 비용을 들여 면허를 취득해 자동차를 소유해야 할 이유도 흐려졌다는 분석입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실제로 11시간, 13시간 교육받고 길거리에서 도로 주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행 연습을 별도로 해야 되고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는 인식. 그러다 보니까 '차를 가질 필요가 있을까'라는 공유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높아졌다고 볼 수가 있어요. 젊은 층 같은 경우에는 요새 집 소유라든지, 결혼이라든지, 이런 여러 가지 부분들을 진행하지 못할 정도로 수입원에 대한 것들이 상당히 지금 고민이 많은 상태에서 굳이 면허를 지금 취득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전국의 자동차 운전학원은 지난해 말 356곳으로, 20년 사이 200곳 가까이 줄어든 건데요.
25년간 운영 중인 경기도 부천의 자동차 운전전문학원도 폐업 위기입니다.
지난 2016년 4천 명에 육박했던 수강생 수가 지난해 2천100명 대로 줄면서 적자를 기록한 겁니다.
운전면허 학원 업계는 인구가 계속 줄면서 수강생 감소폭은 더 두드러질 걸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문이진)
전연남 기자 yeonnam@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면허 취득하려는 젊은 층이 줄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면허를 취득한 사람은 5년 만에 총 8만 9천 명이나 줄었습니다.
연령 별로 보니 20대 이하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속도도 빠릅니다.
면허 취득자 감소율이 인구 감소율보다 두 세배 높은 걸로 나타난 건데요.
전문가들은 인구 감소 현상도 원인이지만, 청년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진 데다, 공유 시스템이 발전한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습니다.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고도 공유 자전거 등으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이른바 '공유 시스템'이 조성됐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젊은 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비싼 비용을 들여 면허를 취득해 자동차를 소유해야 할 이유도 흐려졌다는 분석입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실제로 11시간, 13시간 교육받고 길거리에서 도로 주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행 연습을 별도로 해야 되고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는 인식. 그러다 보니까 '차를 가질 필요가 있을까'라는 공유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높아졌다고 볼 수가 있어요. 젊은 층 같은 경우에는 요새 집 소유라든지, 결혼이라든지, 이런 여러 가지 부분들을 진행하지 못할 정도로 수입원에 대한 것들이 상당히 지금 고민이 많은 상태에서 굳이 면허를 지금 취득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이렇다 보니 운전면허 학원들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전국의 자동차 운전학원은 지난해 말 356곳으로, 20년 사이 200곳 가까이 줄어든 건데요.
25년간 운영 중인 경기도 부천의 자동차 운전전문학원도 폐업 위기입니다.
지난 2016년 4천 명에 육박했던 수강생 수가 지난해 2천100명 대로 줄면서 적자를 기록한 겁니다.
[송진석/자동차운전전문학원 원장 (SBS 8뉴스, 지난 3월 15일) : 20% 넘게 해마다 수강생이 줄고 있기 때문에 학원 운영에 애로점이 되게 많습니다. 강사들도 구조조정해서 내보내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무급휴직을 주는 경우도 있고.]
운전면허 학원 업계는 인구가 계속 줄면서 수강생 감소폭은 더 두드러질 걸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문이진)
전연남 기자 yeonna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