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대표를 겨냥했던 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의 녹취록 파문 이후, 주변인들을 중심으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윤상현 의원은 김대남 전 행정관이 지난 당대표 경선 당시 나경원 캠프의 핵심 참모였다며 화살을 돌렸는데요.
나경원 의원도 오늘 아침 직접 해명에 나섰습니다.
들어보겠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 (CBS 김현정의 뉴스쇼) : 저는 그 당시에 캠프를 사실상 차리지도 않았기 때문에 이 보좌진들, 국회 보좌진들 중심으로 선거를 치렀습니다. 그래서 그런 건 김대남 전 행정관이 저하고 논의할 그런 위치에도 있지 않았다,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들은 바로는 이명수 기자, 그 기자가 고향 후배라는 거예요. 그래서 그렇게 후배라고 믿고 그랬다는데 세상에 믿을 사람이 있고 안 믿을 사람이 있지 이미 우리 정말 절대로 같이 이야기를 섞어서는 안 된다는 걸 잘 알 텐데 저는 매우 부적절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이 문제를 왜 지금 지도부가 이렇게 키우느냐. 친한들이 지금 계속 하는 얘기들을 보면 결국 이거는 뒤에 배후가 있다. 처음에는 꼭 대통령실이 배후인 것 같은 느낌이 들게 이야기를 했고요. 어떻게 보면 서울의 소리나 일종의 저쪽 진영, 민주당 진영이나 좌파 진영의 그런 꾀임에 넘어간 수다, 이렇게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거죠.]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다시 국회로 돌아온 김건희 여사 특검법은 오늘 본회의에서 재표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김재섭 의원도 '오늘은' 부결을 전망했지만, 언제까지 이럴 수 있겠느냐며 그 다음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재섭 / 국민의힘 의원 (SBS 김태현의 정치쇼) : 저는 오늘은 부결이 될 거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자체에 대한 절차적인 문제들, 그리고 그 법이 가진 위헌성, 이런 것들을 생각해 보면 그래도 국민의힘 의원 입장에서 이 법안은 좀 그렇지. 이거는 좀 안되지. 그리고 이 목적이 보수진영을 탄핵하기 위한 수단인 게 너무 명백하기 때문에 그것은 못 받겠지만, 그렇다 해서 이거 언제까지 이럴 거야? 라는 문제의식은 분명히 있는 거죠. 분명하게 한동훈 대표도 저도 그렇고 절차적인 문제, 그리고 위헌성, 이런 것들을 지적해왔지. 김건희 여사에 대한 윤리적인 정치적인 문제가 없다고 이야기하지 않고 있잖아요. 이런 것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해소는 해야 되거든요. 그게 무슨 제2부속실이든, 특별감찰관이든, 사과든, 아니면 수사든 뭐든지 간에. 저는 그래서 출구전략은 분명히 있어야 된다. 아마 한동훈 대표는 그런 것을 고민하고 한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민주당은 이번에 김건희 여사 특검법이 폐기되더라고 또다시 발의할 거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장경태 / 더불어민주당 의원 (SBS 김태현의 정치쇼) : 수사 의지가 없어 보이는 특별검사에 대해서만 우리도 좀 거부할 정도의 최소한의 안전장치만 달라는 거거든요. 추천은 저희도 제3자 추천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한동훈 대표가 이야기했듯이. 나중에 냄비가 끓다가 정말 조금씩 김을 빼주셔야지. 수사라도 좀 해주셔야지. 수사도 아무것도 안 하고, 특검도 안 하고 하다가 진짜 스모킹 건 정말 몇 개 딱 터지면, 한 개만 터져도 제가 보기엔 그거 감당이 되겠습니까. 그러니까 정말 지금 강남에 있는 국민의힘 지지층부터 시작해서 영남에 있는 지지층마저도, 저희도 다 여론조사 양당이 다 해보기 때문에 상당히 저조하게 나오는 게 사실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서는 뭐 좋아하는 부분도 있고, 긴가민가하시겠죠. 그런데 김건희 여사만큼은 압도적으로 나와요. 그러니까 김건희 여사도 공정하게 수사해야 된다.]
YTN 박석원 (anc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모든 반려인들이 알아야 할 반려동물의 질병과 처치법 [반려병법]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윤상현 의원은 김대남 전 행정관이 지난 당대표 경선 당시 나경원 캠프의 핵심 참모였다며 화살을 돌렸는데요.
나경원 의원도 오늘 아침 직접 해명에 나섰습니다.
들어보겠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 (CBS 김현정의 뉴스쇼) : 저는 그 당시에 캠프를 사실상 차리지도 않았기 때문에 이 보좌진들, 국회 보좌진들 중심으로 선거를 치렀습니다. 그래서 그런 건 김대남 전 행정관이 저하고 논의할 그런 위치에도 있지 않았다,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들은 바로는 이명수 기자, 그 기자가 고향 후배라는 거예요. 그래서 그렇게 후배라고 믿고 그랬다는데 세상에 믿을 사람이 있고 안 믿을 사람이 있지 이미 우리 정말 절대로 같이 이야기를 섞어서는 안 된다는 걸 잘 알 텐데 저는 매우 부적절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이 문제를 왜 지금 지도부가 이렇게 키우느냐. 친한들이 지금 계속 하는 얘기들을 보면 결국 이거는 뒤에 배후가 있다. 처음에는 꼭 대통령실이 배후인 것 같은 느낌이 들게 이야기를 했고요. 어떻게 보면 서울의 소리나 일종의 저쪽 진영, 민주당 진영이나 좌파 진영의 그런 꾀임에 넘어간 수다, 이렇게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거죠.]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다시 국회로 돌아온 김건희 여사 특검법은 오늘 본회의에서 재표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국민의힘은 이 법안을 정쟁용 악법으로 규정하고 부결시키겠다는 방침입니다.
김재섭 의원도 '오늘은' 부결을 전망했지만, 언제까지 이럴 수 있겠느냐며 그 다음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재섭 / 국민의힘 의원 (SBS 김태현의 정치쇼) : 저는 오늘은 부결이 될 거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자체에 대한 절차적인 문제들, 그리고 그 법이 가진 위헌성, 이런 것들을 생각해 보면 그래도 국민의힘 의원 입장에서 이 법안은 좀 그렇지. 이거는 좀 안되지. 그리고 이 목적이 보수진영을 탄핵하기 위한 수단인 게 너무 명백하기 때문에 그것은 못 받겠지만, 그렇다 해서 이거 언제까지 이럴 거야? 라는 문제의식은 분명히 있는 거죠. 분명하게 한동훈 대표도 저도 그렇고 절차적인 문제, 그리고 위헌성, 이런 것들을 지적해왔지. 김건희 여사에 대한 윤리적인 정치적인 문제가 없다고 이야기하지 않고 있잖아요. 이런 것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해소는 해야 되거든요. 그게 무슨 제2부속실이든, 특별감찰관이든, 사과든, 아니면 수사든 뭐든지 간에. 저는 그래서 출구전략은 분명히 있어야 된다. 아마 한동훈 대표는 그런 것을 고민하고 한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민주당은 이번에 김건희 여사 특검법이 폐기되더라고 또다시 발의할 거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민주당 장경태 의원은 이렇게 끓고 끓다가 스모킹건 하나만이라도 터지면 정말 감당이 되겠느냐면서 수사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장경태 / 더불어민주당 의원 (SBS 김태현의 정치쇼) : 수사 의지가 없어 보이는 특별검사에 대해서만 우리도 좀 거부할 정도의 최소한의 안전장치만 달라는 거거든요. 추천은 저희도 제3자 추천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한동훈 대표가 이야기했듯이. 나중에 냄비가 끓다가 정말 조금씩 김을 빼주셔야지. 수사라도 좀 해주셔야지. 수사도 아무것도 안 하고, 특검도 안 하고 하다가 진짜 스모킹 건 정말 몇 개 딱 터지면, 한 개만 터져도 제가 보기엔 그거 감당이 되겠습니까. 그러니까 정말 지금 강남에 있는 국민의힘 지지층부터 시작해서 영남에 있는 지지층마저도, 저희도 다 여론조사 양당이 다 해보기 때문에 상당히 저조하게 나오는 게 사실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서는 뭐 좋아하는 부분도 있고, 긴가민가하시겠죠. 그런데 김건희 여사만큼은 압도적으로 나와요. 그러니까 김건희 여사도 공정하게 수사해야 된다.]
YTN 박석원 (anc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모든 반려인들이 알아야 할 반려동물의 질병과 처치법 [반려병법]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