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금리 인하 시 집값 급등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기준금리 인하 후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우려하는 보고서가 나왔다. 9월 26일 한국은행은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통해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집값 상승 영향을 추정했다.
한국은행이 충격반응함수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떨어지면 1년 후 전국 주택가격 상승률은 0.43%포인트 더 오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서울의 상승률은 0.83%포인트로 전국보다 훨씬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부동산 시장의 대출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이다. 2024년 상반기 기준 전체 주택담보대출 금액은 466조7000억원인데, 그중 LTV(주택담보대출비율)가 60%를 초과하는 고LTV 대출 금액은 155조2000억원에 달한다. 한국은행은 고LTV 대출 금액 증가 이유로 대출규제 완화, 실수요자 지원정책 강화, 주택 매수수요 확대를 꼽았다.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도 매섭다. 올 상반기 늘어난 주택담보대출 금액은 17조1000억원이었다. 이는 2013~2021년 주택담보대출의 반기 증가액(2013~2021년) 평균(11조5000억원)보다 48.7% 많은 수준이다. 2023년 하반기 12조7000억원보다도 4조4000억원 늘어났다. 2023년 하반기부터 2024년 상반기 증가세가 모두 평균치를 넘은 셈이다.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 물결과 부동산 시장의 과열 현상을 연계해 분석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울러 한은은 기준금리를 이미 인하한 다른 국가에서는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 추가 조치를 취했다는 점도 짚었다. 대표적인 국가는 8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뉴질랜드다. 뉴질랜드는 기준금리를 내리기 전인 7월 대출 규제를 도입했다. DTI(총부채상환비율)의 기준을 넘긴 초과 차주借主의 경우 신규 대출 비중을 20%로 관리하는 방안이다.
한국은행은 "9월 들어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가격 상승은 둔화했지만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가계부채를 관리하는 건 어려워질 것"이라며 "금리 인하 시 취약 차주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채무 부담은 덜어낼 수 있지만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누증의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