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30 (월)

오스트리아도 극우 바람…'나치 친위대' 자유당, 총선 출구조사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럽을 휩쓴 극우 열풍이 멈추지 않고 있다. 오스트리아 총선에서도 극우 정당인 자유당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총선에서 승리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29일(현지시간) 실시된 오스트리아 총선의 출구조사 결과, 극우 성향의 자유당은 29.1%의 득표율을 기록해 칼 네함머 총리를 배출한 중도 보수 성향의 국민당(26.2%)을 약 3%포인트 차 앞설 것으로 예상됐다. 이어 중도 좌파 성향인 사회민주당(20.4%), 진보 성향의 네오스(8.8%)와 녹색당(8.6%) 순이었다. 이번 선거의 투표율은 약 78%를 기록했다.

헤르베르트 키클 자유당 대표는 직후 총선 승리를 선언했다. 그는 공영방송 ORF와의 인터뷰에서 "오늘 유권자들은 단호하게 행동했다. 이 나라에서 지금까지와 같은 상황이 계속돼선 안 된다고 분명하게 말했다"면서 "우리는 항상 정부를 이끌 준비가 돼 있다. 오스트리아에서 시민들과 함께 변화를 추진할 준비가 됐다고 말해왔다"고 밝혔다. 반면 네함머 총리는 "씁쓸하다"고 패배를 인정했다. 네함머 총리가 소속된 국민당과 사민당은 이번 총선에서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악의 성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 출구조사 결과는 유럽 내 저성장, 정치적 격변 속에서 오스트리아에서도 극우 포퓰리즘 정당의 지지율이 급등하고 있음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반이민, 반유럽연합(EU) 등을 앞세운 자유당은 1950년대 나치 부역자들이 세운 극우 정당이다. 최근에는 당원들이 나치 친위대가 즐겨 부르던 노래를 부르는 모습이 공개돼 논란에 올랐다.

일간 가디언은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를 모델로 삼은 극우 자유당이 이민, 망명,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이용했다"면서 "높아진 인플레이션, 미미한 경제 성장, 코로나19 확산 당시 엄격한 정부 조치에 대한 남은 분노 등이 2019년 마지막 선거 이후 자유당의 지지율이 13%포인트 상승하는 데 일조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오스트리아에서는 지난달 이슬람 테러 위협으로 테일러 스위프트의 빈 콘서트가 취소되기도 했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자유당은 이번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연립정부 구성을 위한 파트너가 필수적이다. 네함머 총리는 자유당과의 연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극우 정치인인 키클 대표가 총리가 되는 시나리오는 아예 불가능하다고 재확인했다. 키클 대표가 뒤로 물러나야만 자유당과 연정을 구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사회민주당, 네오스, 녹색당 역시 키클 대표와의 연대를 배제하고 있는 상태다.

정치학자 피터 필츠마이어는 ORF에 "자유당 지지자들에게 총리직과 키클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 앞으로 몇 주 안에 알게 될 것"이라며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에게 (투표) 동기를 부여한 것은 인물이 아닌 이슈였다"고 말했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프랑스에서 좌파연합인 신민중전선(NFP)이 총선에서 1당을 차지했지만 단독 과반을 확보하지 못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중도우파 정부를 세운 사례를 언급하며 "사민당과 국민당이 네오스 등의 지원을 받아 연정을 구성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현 총리인 네함머가 집권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보도했다.

유럽 내에서는 최근 극우 정당의 득세가 잇달아 확인되고 있다. 지난해 네덜란드 총선에서 헤이르트 빌더르스가 이끄는 극우 성향 자유당이 1위를 차지했고, 그에 앞서 2022년 9월 이탈리아 조기 총선에서는 조르자 멜로니가 대표인 극우 정당 이탈리아형제들(FdI)이 승리했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현재 유럽에서 극우 세력이 집권한 국가는 6개국에 달한다. 또한 벨기에, 프랑스 등에서도 극우정당이 여론조사 1위를 기록하며 차기 집권을 노리고 있다. 앞서 6월 유럽의회 선거에서는 강경 우파와 극우 정당이 무려 167석을 차지하며 2위를 기록했다. 한때 정치권에서 변방 세력으로 취급되던 극우정당들이 비호감 이미지를 벗고 정치적 주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WSJ는 별도의 기사를 통해 이러한 극우 반체제 포퓰리즘의 득세 배경에는 이민, 물가상승 등 외에도 정부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자리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