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7 (금)

미술관 벽엔 ‘위로’가 걸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채기성 작가 신작 장편소설
사연 깃든 작품 하나만 전시
잊고 있던 나 자신과 마주해


서울신문

ⓒ정나혜·나무옆의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저 마주하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는 것. 절망의 반복인 일상에서 우리가 가장 많이 잃어버리는 것. 바로 우리 자신의 얼굴이다. 얼굴을 잃어버린 위태로운 사람들이 북악산 자락, 서울 부암동에 있는 어느 미술관으로 모여든다.

201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채기성(47)의 신작 장편소설 ‘부암동 랑데부 미술관’은 소소하고 느긋하고 편안한 이야기다. 복잡한 서사와 심오한 알레고리, 난해한 철학으로 독자를 괴롭히지 않는다. 이미 각자의 삶에서 전쟁을 치르고 있을 독자를 조용히 불러세우고 잔잔한 동화를 들려줄 뿐이다. 당신이 바쁘게 살아가는 사이, 부암동에서는 이런 일이 있었다면서.

아나운서를 지망했던 청년인 주인공 ‘호수’는 한 기업의 아나운서 공채에 또다시 낙방한다. 낙담에는 이미 익숙해질 대로 익숙해졌다. 그러나 그를 떨어뜨린 기업에서 연락이 온다. 재단의 미술관에서 일하지 않겠느냐고. 미술의 ‘미’자도 모르는 그는 난감하기 그지없다.

서울신문

소설가 채기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6년간 방황할 만큼 했다. 찬밥 더운밥 가릴 계제가 아니다. 그렇게 부암동에 있는 ‘랑데부 미술관’으로 출근한다. 그런데 여기 좀 이상하다. 관람객 한 사람의 사연을 받아 제작된 작품 하나만을 전시하는 곳이란다. 젊음을 되찾고자 하는 노인부터 조직 생활을 청산하려는 건달, 부상으로 은퇴한 야구선수…. ‘낙오자’들의 상처 가득한 일상은 이곳에서 예술로 승화한다.

“보라색은 경계의 색 같아. 찰나의 색 같기도 하고. 꼭 나처럼. 활짝 피어나지 못하고, 또 완전히 지지도 않고 경계에 머문 사람들의 빛깔 같아.”(74쪽)

예술가는 예술로 자기 삶의 답을 찾아가는 사람이다. 그러나 도대체 그 예술이란 놈은 언제쯤 내게 제대로 답을 줄 것인가. 답을 주기는 하는 것인가. 응답받지 못하는 일상이 반복될 때 예술가 앞에 놓인 선택지는 크게 두 가지다. 포기 또는 타협. 소설에서 현대무용을 하는 해주와 노래를 부르는 아경도 마찬가지. 둘의 대화에서 아경이 전하는 이 말은 어쩌면 예술로부터 응답을 기다리는 모든 젊은 예술가들에게 바치는 위로이기도 하다.

“아빠 얼굴 표정은 세 가지밖에 없어요. … 바로 밉돌이, 짜증돌이, 피곤돌이예요. … 아빠는 항상 세 가지 표정만 지을 뿐이어서 아빠의 원래 얼굴이 어땠는지 가물가물해요. 어떻게 하면 아빠의 원래 얼굴을 찾을 수 있을까 고민이에요.”(236~237쪽)

서울신문

딸 영서 앞에서 화만 내는 희준. 그러고 싶지 않은데, 언젠가부터 회사에서 살아내는 것조차 버거워진 뒤로는 안에서 치솟는 화를 도저히 참을 수가 없다. 직장생활도 에너지 음료와 커피로 간신히 버티는 그에게 가족과 오붓한 주말은 언감생심이다. 뒤틀린 악순환은 어떻게 끊어내야 할까. 영서의 성화에 못 이긴 희준도 잃어버린 얼굴을 찾고자 랑데부 미술관으로 향한다.

편의점(‘불편한 편의점’), 세탁소(‘메리골드 마음 세탁소’), 백화점(‘달러구트 꿈 백화점’) 그리고 이번 미술관까지. 책은 앞서 대중에게 사랑받았던 이른바 ‘장소 힐링 소설’의 문법을 따르고 있다. 독자들은 왜 특정한 장소가 주는 힐링을 자꾸 찾는 것일까. 어쩌면 현실의 편의점이, 세탁소가, 미술관이 현대인에게 필요한 안식을 주지 못하기 때문은 아닐까.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내셔널 갤러리는 독일군의 공습을 피해 소장품을 탄광 등 비밀 장소로 옮긴 적이 있다고 한다. 미술관은 여기서 매달 작품 한 점씩만을 가져와 전시했는데, 그 작품을 보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몰렸다고 한다. 채기성은 작가의 말에 이런 일화를 전하면서 독자에게 ‘여백의 순간’을 전하고 싶었다고 했다. 그는 이렇게 덧붙였다.

“일상은 수많은 정보와 디지털 콘텐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둘러싸여 있다. 오프라인에서 진정으로 관계를 맺어가는 것이 어려운 세상에 살고 있다. ‘부암동 랑데부 미술관’은 여백과 관계에 대한 이야기다.”

오경진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