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스님.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형수의 대부’로 불리는 삼중스님이 20일 오후 경주의 한 병원에서 만성신부전증으로 투병하다 입적했다. 세수 82, 법랍 66년.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난 삼중스님은 16살에 해인사에서 경산스님을 은사로 출가했고, 화엄사·용연사·자비사 주지 등을 지냈다.
삼중스님은 소외된 이들의 생활 현장에서 함께하는 동사섭 수행을 실천했으며, 특히 60년 가까이 재소자 교화 활동을 펼쳤다. 사형수를 상대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사형 집행 현장을 지켜보기도 해 ‘사형수의 대부’라는 별명을 얻었다.
삼중스님은 사형제 폐지를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2022년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범죄를 저지르고도 돈이나 권력으로 잘 마무리해서 교도소에 가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힘이 없어서 작은 실수를 하고도 엄청난 형벌을 받는 사람이 지금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인 차별에 항거해 야쿠자를 사살하고 일본 형무소에서 무기수로 복역 중이던 재일동포 김희로씨 석방 운동을 펼쳐, 그의 석방과 귀국에 기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안중근 유해 찾기 운동에도 헌신한 삼중스님은 수십 차례 중국을 방문해 백방으로 수소문했으나 끝내 뜻을 이루지 못했다.
‘길’ ‘가난이 죄는 아닐진대 나에게 죄가 되어 죽습니다’ ‘사형수 어머니들의 통곡’ ‘그대 텅빈 마음 무엇을 채우랴’ ‘사형수들이 보내온 편지’ ‘사형수의 눈물을 따라 어머니의 사랑을 따라’ 등 여러 저서를 남겼다. 약자를 보살피는 여러 활동 등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종정표창, 대한적십자사 박애상 금상, 대통령 표창, 국민훈장 목련장 등을 수상했다.
빈소는 동국대 경주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24일이다. 삼중스님이 평소 지녀온 뜻에 따라 화환과 조의금은 사양하고, 별도의 영결식도 생략한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