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동아일보 언론사 이미지

이재명 “文에 대한 정부 작태,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정치탄압”

동아일보 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원문보기

이재명 “文에 대한 정부 작태,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정치탄압”

속보
이란 "이스라엘에 첨단무기 동원한 새로운 공격 착수"
文-李 “준비되지 않은 대통령 집권…나라 혼란, 국민 불안“

與 “사법리스크 두 사람의 ‘꼼수회동’이자 ‘방탄 동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2024.9.8/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2024.9.8/뉴스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8일 문재인 전 대통령의 가족을 겨눈 검찰의 수사에 대해 “정부가 하고 있는 작태는 정치적으로도, 법리적으로도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정치탄압”이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을 찾아 문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평산마을 문 전 대통령 사저에서 이뤄진 이 대표의 문 전 대통령 예방 이후 40분간 이뤄진 양측의 대화를 이같이 전했다. 이 대표는 이 자리에서 문 전 대통령 및 가족에 대한 검찰의 수사를 언급한 뒤 “한 줌의 지지세력을 결집하기 위한 수단 아니냐”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 전 대통령은 “기본적으로 나나 가족이 감당할 일이지만 당에 고맙게 생각한다”며 “당당하게, 강하게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와 문 전 대통령은 지난 정부에서 진행한 검찰개혁이 미완에 그쳤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검찰의 수사가 흉기가 되고, 정치보복의 수단이 되고 있는 현실에 대해 개탄스럽다고 (양측이) 공감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은 말했다.

아울러 문 전 대통령은 “민주당이 재집권을 위해 준비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하고 일사분란한 지도부가 이끄는 민주당이 재집권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활동했으면 좋겠다”며 “재집권을 위해 지지층의 기반을 넓히는 작업들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특히 “부산, 울산, 경남의 경우 지난 총선에서 45% 정도의 득표율을 보였는데 당이 조금 더 관심을 갖고 활동한다면 더 큰 지지를 받게 될 것”이라며 “민주당이 지금 잘하고 있고, 민생과 정치 뿐만 아니라 안보와 국방 문제에 대해서도 보다 더 적극적으로 행보를 보여주는 게 어떻겠나”라고 당부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와 문 전 대통령은 준비되지 않은 대통령이 집권해서 나라를 혼란으로 몰고 가고, 국민들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는 것에 공감했다”며 “그렇기 때문에 (문 전 대통령은) 민주당이 잘 준비를 했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와 문 전 대통령은 당내 통합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사람들을 분열시키고 감정의 골을 만드는 가짜뉴스로 인해 우리 내부가 흔들리거나 분열되서는 안 된다”고 말했으며 이에 대해 문 전 대통령은 강하게 공감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국민의힘은 문 전 대통령과 이 대표의 회동을 두고 “야권의 정치세력화로 검찰 수사와 재판에 영향을 미치겠다는 노골적 의도가 담긴 ‘꼼수회동’이자 사법 리스크로 위기를 자초한 두 사람의 ‘방탄 동맹’”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박준태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 대표와 문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회동과 극적인 원팀 선언의 배경에 의문을 품는 국민이 많다”며 “이 대표 일극 체제 완성을 위해 소위 친문 세력을 공천에서 배제했던 ‘친명 횡재, 비명 횡사’가 불과 몇 개월 전 일이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내일 출범할 민주당 ‘전 정권 정치탄압 대책위원회’에 친명·친문계 의원들이 모두 참여한다고 하니 오늘 회동의 성과가 상당하다”며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을 가졌던 이들이 한 배에 오른 모습은 ‘오월동주’ 고사를 떠올리게 하지만 그 모습은 애처로워 보이기까지 한다”고 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이 대표와 문 전 대통령은 이제 그만 정치적 도피를 멈추고 법의 심판대 위에 올라서야 한다”며 “양산이 아닌 법정에서 진실을 밝히고 책임지는 것이야말로 야권의 정치 지도자다운 모습일 것”이라고 일갈했다.

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sinnala8@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