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아버지 괜찮아요? 고마워요…열달간 매일 그린 ‘사부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요양병원의 아버지를 위해 매일 그린 유근택의 ‘편지-또 다른 오늘’. 권근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요양병원의 아버지와 만날 수 없게 됐다. 화가니까, 매일 한 장씩 그려 간병인과 영상통화를 하며 아버지께 보여드렸다. 유근택(59)은 2021년 8월에는 아버지 얼굴을 그리고 ‘아버지 괜찮아요’라고 썼다. 9월에 그린 풍경화에는 ‘아버지, 가을 하늘이 슬프게도 파래요’라고, 12월에는 아버지 얼굴을 그리고 ‘아버지 감사해요, 수고 많으셨어요’라고 적었다. 그림은 아버지의 마지막까지 10달간 이어졌다. 그 중 81점이 서울 올림픽공원 내 소마미술관의 한 전시실을 꽉 채웠다.

소마미술관이 개관 20주년 특별전 ‘드로잉, 삶의 철학을 그리다’를 25일까지 연다. ‘드로잉과 삶의 철학’이라는 키워드로 꾸린 작가별 미니 회고전이다. 숯의 작가 이배(68), 개념미술가 안규철(69), 수묵화가 강미선(63), 레고 블록과 비즈로 산수화를 만든 황인기(73), 김명숙(64) 등 중견 화가 6명의 드로잉과 철학자 이진우·허경의 이야기를 담았다.

강미선은 최근 서촌의 100년 가까이 된 한옥을 고쳐 살게 됐다. 공사 중 땅 속에서 주춧돌, 사기 조각, 서까래 등을 발견했다. 집의 역사와 이야기, 흔적이 거기 있었다. 전시장 한 벽을 채운 ‘나의 서가도’에는 소반·장독·문창살 등 일상의 부분을 그려 넣었다.

레고블록으로 가로 7m 가까운 대작 산수화 ‘오래된 바람 1101’을 만든 황인기는 “‘찌릿찌릿’하고 ‘번쩍번쩍’하는 일을 해 왔는데 여기까지 왔다”고 돌아봤다. 1971년 서울대 공대를 중퇴하고 미대 회화과 졸업 후 뉴욕으로 유학 간 그는 전시장 내 영상 인터뷰에서 “하고 싶은 대로, 좋아하는 것을 하자”고 말했다.

중앙일보

아침마다 일기 쓰듯 그린 안규철의 ‘사다리와 삽’. 권근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규철은 전시장에 삽과 사다리를 뒀고, 벽을 뚫었다. 삽과 사다리에 대한 드로잉과 글도 걸었다. 높은 데서 작업할 때 쓰는 사다리와 땅을 파는 데 쓰는 삽은 인간 활동영역의 양극단에 있는 노동자의 상징이다. 스케치북에 연필로 사다리와 삽을 그리고 사물의 정의부터 제작과정, 재료, 사용과 관리방법, 부작용까지 사물의 특성을 적어 내려간 작가는 우리네 삶의 진실까지 더듬어 나간다.

“높이 오르려는 사람이 추락의 위험을 줄이려면, 자신이 딛고 있는 땅이 단단한지, 사다리가 자신을 지탱할 만큼 튼튼한지, 기울어지거나 넘어가지 않을 만큼 안정적으로 서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높이 올랐다고 방심할 일이 아니다. 추락의 위험이 곳곳에서 빚을 받으려는 빚쟁이처럼 자신을 기다리고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전시장엔 삽과 사다리 연작뿐 아니라 사과(謝過), 수고로운 공회전 등 지난 30년 간의 드로잉 20여 점이 걸렸다.

전시장 밖 올림픽조각공원에서는 마우로 스타치올리, 루이스 부르주아 등의 조각을 볼 수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맞아 열린 ‘세계현대미술제’ 참여 작품들이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소마미술관은 이 조각공원의 관리를 위해 ‘서울올림픽미술관’으로 2004년 개관했고, 2006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권근영 기자 you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