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전기차 타면 죄인인가요"···탁상행정에 전기차주 불만 봇물 [Car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천 청라 화재 피해 규모 키운 건

스프링클러 미작동 초기 대응실패

90% 미만 충전만 지하주차 허용

서울시 행정에 전기차주 불만폭주

가뜩이나 주차 공간 절대 부족한데

"왜 잠재적 화재 유발자 취급하냐"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전기차 배터리가 90% 이상 충전된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지난 1일 인천 청라 아파트 단지의 지하주차장 화재 발생 이후 전기차의 안전성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서울시가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먼저 행동에 나섰다. 하지만 이번 사고가 대형 화재로 번지게 된 스프링클러 미작동 문제는 그대로 두고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 금지 카드부터 꺼내든 것은 지나친 ‘탁상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최초 발화 지점인 전기차의 화재 원인을 규명하는 것과 별개로 유사한 사고 예방을 위해선 차량 화재 발생시 초동 대응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부터 점검하는 게 먼저”라면서 “애꿎은 전기차의 출입을 막을 게 아니라 아파트 지하주차장의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부터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일 업계와 전기차 커뮤니티에 따르면 지난 9일 서울시가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을 제한하는 대책을 발표하자 이를 성토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서울시는 인천 청라 화재 사고 이후 전기차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90% 이하로 충전을 제한한 전기차만 서울지역의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들어갈 수 있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다음달말까지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을 개정해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에서 거주 단지에 맞게 개정된 공동주택 관리규약을 적용할 수 있도로 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차량 소유자 요청시 제조사에 전기차 내구성능·안전 마진을 10%로 상향 설정하도록 하고 해당 차량에 90% 충전제한이 적용됐다는 ‘충전제한 인증서(가칭)’를 발급할 방침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는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완성차 업계가 국내에 판매 중인 대다수 전기차는 기본 마진을 확보해 놓고 있어서다. 전기차에 탑재된 100kWh(킬로와트시) 용량의 배터리를 100% 충전해도 실제로는 이보다 적게 충전된다. 그럼에도 업계는 일단 지자체의 노력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005380)그룹은 “현대차·기아(000270)는 전기차 안전 관련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고 배터리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고객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고객 우려 불식 차원에서 앞으로도 지자체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커뮤니티에선 서울시의 이번 대책이 ‘시민의 안전’을 가장한 포퓰리즘 정책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사고 확산의 원인은 따로 있는데 애꿎은 전기차에 대한 혐오감만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전기차주는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한 초기에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해 불길이 주변 차량으로 번지지 않았다면 주변 차량 몇대만 그을리는 정도에서 끝났을 것”이라며 “왜 전기차를 타는 사람을 죄인 취급하고 이용을 제한하려는 것인지 이해가 안간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다른 전기차주도 “회사든 집이든 365일 주차난에 시달리는고 있는데 90%만 충전된 전기차만 주차장을 이용하르는게 말이 되느냐”며 “충전 스트레스가 앞으로 더 심해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고가 대형 화재로 번진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전기차의 화재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지하주차장은 기본적으로 화재에 취약하다. 전기차든 내연기관차든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에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돼 다른 차량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 화재도 초기에 스크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

지난해 9월 전남 광양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도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피해 규모가 컸다. 최초 발화 차량이 내연기관차라는 점만 다를 뿐 이번 청라 화재 사고와 판박이다. 불이 붙은 자동차는 주변에 주차된 차량 10여대를 태운 후 3시만에 진화됐다. 주민 60여명이 연기를 흡입했고 130여명이 대피했다. 7명의 사상자를 낸 지난 2022년 9월 대전 유성구 현대프리미임아울렛 지하주차장의 화재도 스프링클러가 작동되질 않아 더 큰 화재로 번졌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소방당국도 전기차 화재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스프링클러의 설치 기준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방침이다. 스프링클러를 좀더 촘촘하게 설치하고 반응 속도를 높이는 것이 골자다. 소방청은 12일 환경부 주관으로 정부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전기차 화재 관련 회의'에 참석해 이런 내용의 전기차 화재대응 개선 방안을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청에 따르면 건물의 천장 등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는 관련 화재안전성능기준 상 물이 뿜어져나오는 헤드 간 거리가 2.3m다. 소방당국은 전기차 충전 구역이 있는 지하 주차장의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 간 거리를 2.0∼2.1m로 좁혀, 화재 시 보다 많은 양의 물이 분사돼 조기 진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민감도도 높이는 방안이 거론된다. 헤드는 크게 표준형과 조기반응형으로 나눠진다. 표준형 헤드를 조기반응형으로 교체·설치하게 되면 기류온도나 속도에 한층 빠르게 반응하게 된다. 스프링클러 헤드의 민감도가 높아질 경우 오작동 가능성도 커질 수 있는 만큼 충분한 검토를 거쳐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서민우 기자 ingaghi@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