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분쟁조정 접수 마감…여전히 초조한 여행 피해자들
'빠른 해결'은 미지수…조정 결론엔 최장 90일 소요
티몬·위메프(티메프) 피해자가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여행상품 환불 지원방안을 촉구하는 릴레이 우산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여행·숙박·항공권과 관련해선 오는 9일 집단분쟁조정 신청 접수를 마감하고 다음 주부터 조정 절차를 시작한다. /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형준 기자 = "이 피 마르는 상황을 언제까지 견뎌야 하는 건가요."
티몬·위메프(티메프)의 미정산 사태 이후 피해액을 환불받지 못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집단분쟁조정이 시작된다.
PG사와 여행업계가 환불 책임에 대한 공방을 이어가면서 소비자들은 언제쯤 환불을 받을 수 있을지 초조해하는 분위기다. 이번 분쟁조정이 이뤄지더라도 최대 90일이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이 소비자들의 답답함을 더하고 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9일 오후 11시 59분까지 여행, 숙박, 항공권 분야에 대한 집단분쟁조정 신청 접수를 진행했다. 접수 인원은 총 9028명으로 이후 추가적인 환불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집단분쟁조정은 50명 이상의 소비자가 같은 물품 등으로 인한 피해를 보거나 비슷한 유형의 피해를 입었을 때 함께 피해 구제를 신청하는 제도다. 조정이 성립될 경우 재판상 화해의 효력이 발생해 민사소송에 비해 효율적으로 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달 29일 '위메프·티몬 판매 대금 미정산 관련 관계 부처 TF' 2차 회의에서 한국소비자원에 소비자피해대책반과 실무대응팀을 구성하도록 하고 지난 1일부터 집단분쟁조정 신청을 받아 왔다.
접수를 마친 한국소비자원은 이 주 중으로 집단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본격적인 조정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번 조정에는 계약 당사자인 판매자와 함께 소비자, 판매자 간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티메프)가 당사자로 참여한다.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에 미정산 피해자들이 작성한 항의문이 붙어 있다. /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일부 PG사와 카드사들이 여행 상품에 대한 환불을 보류하면서 소비자들의 기약 없는 기다림이 시작됐다. 여행 상품의 환불 의무가 PG사에 있는지 여행사에 있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여행 계약이 확정된 이상 여행사에 환불 의무가 있다는 것이 PG사 측의 입장이다.
이에 한국여행업협회는 입장문을 통해 "여행사는 여행 상품 판매를 한 것은 맞지만 티메프로부터 정산을 받지 못해 환불할 금액이 없는 상황"이라며 "일부 PG사 및 카드사가 환불 책임을 여행사에 전가하고자 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몫이 되고 있다. 티메프는 물론 PG사, 카드사, 여행사 등 어느 곳에서도 피해 구제를 받지 못한 여행 상품 소비자들이 대거 집단분쟁조정 신청에 몰렸다.
집단분쟁조정 신청에 참여한 한 여행 상품 소비자는 "(환불을 받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야 한다는 마음"이라며 "접수 건수가 많을수록 관심이 높아지고 경각심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비자는 "결제사에서 이번 주에는 환불해 주려나 기대했는데 어려울 것 같아서 접수 마감일에 집단분쟁조정을 신청하게 됐다"고 전했다.
한국소비자원 분쟁조정위원회의 본격적인 조정이 시작되지만 빠른 시일 내에 상황이 마무리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집단분쟁조정은 규정상 절차 개시를 공고하고 공고 종료일로부터 30일 내에 조정 결론을 내야 한다. 하지만 30일씩 두 차례까지 연장을 할 수 있어 최장 90일까지도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미 오랜 시간 환불을 기다려 온 소비자들은 답답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티몬에서 숙박 상품을 구입한 한 소비자는 "이번 여름 휴가는 티몬 때문에 망했다"며 "숙박·여행이 가장 (피해가) 크고 급한데 이런 상황이 답답하기만 하다"고 호소했다.
j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