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중앙일보 언론사 이미지

"민주당, 김경수 '광복절 복권' 요청 안했다"…친명의 견제?

중앙일보 박태인
원문보기

"민주당, 김경수 '광복절 복권' 요청 안했다"…친명의 견제?

속보
트럼프 "G7 러시아 배제는 실수…中 가입도 반대 안 해"
지난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했던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6월 14일 인천공항에서 다시 영국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했던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6월 14일 인천공항에서 다시 영국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치가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고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지 깊이 성찰해야 한다.”

지난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던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한 달 뒤 다시 영국 출국길에 오르며 한 말이다. 당시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을 만난 김 전 지사는 “지난 총선에서 야권이 큰 승리를 거둔 뒤 국회 정국을 어떻게 보고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친문 핵심인 그의 ‘뼈 있는’ 답변은 윤석열 대통령뿐 아니라 친문계를 밀어내고 친명계가 주류를 차지한 야당까지 겨냥했다는 해석을 낳으며 정치권에 미묘한 파장을 일으켰다.

그로부터 두 달이 지난 지금, 김 전 지사가 8·15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 명단에 오를지가 관심받고 있다. 드루킹과 댓글 조작을 공모한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김 전 지사는 2022년 12월 이명박(MB) 전 대통령과 함께 특별사면을 받고 형기 5개월을 남겨둔 채 석방됐다. 그 뒤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 객원교수 자격으로 유학을 갔는데, 복권 없는 사면이라 김 전 지사의 피선거권은 차기 대선 이후인 2027년 12월 말까지 박탈된 상태다. 만약 복권된다면 김 전 지사는 내년 하반기에 열릴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출마할 자격을 충족하게 된다. 지난 총선에서 대거 낙천한 친문계의 구심점이 생기는 셈이다.

지난 2월 28일 더불어민주당의 전략지역구인 서울 중·성동갑에서 공천 배제된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지지자들과 인사하는 모습. 임 전 실장을 포함해 이날 현장을 찾았던 홍영표 전 민주당 의원과 윤영찬 전 민주당 의원 모두 경선에서 낙천했다. 핵심 친문계로 분류되던 인사들이다. 연합뉴스

지난 2월 28일 더불어민주당의 전략지역구인 서울 중·성동갑에서 공천 배제된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지지자들과 인사하는 모습. 임 전 실장을 포함해 이날 현장을 찾았던 홍영표 전 민주당 의원과 윤영찬 전 민주당 의원 모두 경선에서 낙천했다. 핵심 친문계로 분류되던 인사들이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광복절 특사의 방점은 민생이며, 정치인 사면은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전 지사의 복권 여부도 함구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아직 윤석열 대통령에게 최종 명단이 보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련 사정에 정통한 여권 인사들에 따르면 김 전 지사의 복권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통상 사면을 앞두고 정부는 정치권을 포함해 각계각층의 청원을 받는다”며 “김 전 지사 복권에 대한 야당의 구체적 요청이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대통령실은 지난 2월 설 특사 당시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을 사면하면서 국민 통합을 고려해 야권 인사인 박기춘·심기준 전 의원 등도 함께 사면했다. 모두 야당 측이 요구한 인사였다.

당시 용산에선 김 전 지사 복권 요청도 함께 이뤄질 것으로 보고 실무 검토까지 마쳤다. 그러나 정작 김 전 지사의 이름은 명단에 없었다고 한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당시 야당 중진 의원이 소통 통로였는데 김 전 지사에는 별 관심이 없어 대통령실 참모들도 의아해했던 것으로 안다”며 “용산이 먼저 나서면 갈라치기 등 괜한 오해를 받을 수 있어 결국 복권은 안 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국무회의에서 광복절 특사 안건을 논의 및 재가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던 윤 대통령의 모습.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국무회의에서 광복절 특사 안건을 논의 및 재가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던 윤 대통령의 모습.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정치권에선 야당의 미지근한 반응을 두고 김 전 지사에 대한 친명계의 솔직한 속내가 드러난 게 아니냐는 반응도 나온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르면 10월 공직선거법과 위증교사 혐의에 대한 1심 재판 결과가 나온다. 이 전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친문계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김 전 지사의 정치권 복귀가 달갑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김 전 지사가 복권될 시 친문계의 좌장은 아닐지라도 상징적인 구심점 역할을 맡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박태인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