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인생 사진 찍겠다, 소셜미디어 사진을 찍겠다는 이유로 위험을 무릅쓰는 경우가 있죠. 최근엔 제주 바닷가에서 다이빙 인증샷을 찍는 게 유행이라는데, 물 깊이도 모른 채 뛰어들었다 사지가 마비되고, 만취 상태로 뛰어들었다 숨지는 일까지 벌어집니다.
밀착카메라 이가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온라인에서 이른바 다이빙 성지, 다이빙 핫플레이스라고 불리는 제주시 세기알 포구입니다.
이쪽 보시면 '다이빙 위험지역'이라는 걸 알리는 안내문도 붙어 있는데요.
지금은 낮 시간이라서 사람이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지만 밤이 되면 이곳은 완전히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다이빙 사고가 잦은 이곳.
취재 이틀 전에도 사고가 났습니다.
[오혁진/김녕해수욕장 119시민수상구조대 안전팀장 : {그분은 물에 뛰어들었다가 사고 난 건가요?} 네, 다이빙을 하게 됐는데 머리를 바닥에 부딪히면서 (이송됐습니다.)]
술을 마시고 다이빙하는 사람도 있다는 증언도 나옵니다.
[손창우/제주 조천읍 : 일단 음주하는 것도 (보기에) 불편하고 쓰레기도 이렇게 보시면 불편하고 그러니까 도민들이 싫어하는 거예요. 어쨌든 불편하죠. 술 먹고 수영하는 건 아니잖아요. 기본적으로, 상식적으로.]
직접 실태를 확인해봐야겠습니다.
안전요원도 퇴근한 저녁, 바닷물이 들어차는 만조가 되자 사람들이 모여듭니다.
가로등에 의지해 바닷속으로 뛰어드는 사람들.
수십명이 포구에서 다이빙을 즐기고 있습니다.
가까이 가봤습니다.
지금 밤 10시가 넘은 시간입니다.
이쪽 보시면 다이빙 물놀이 위험지역 안내라고 해서 작년과 재작년에 이곳에서 어떤 사고가 있었는지 설명을 해 놓았습니다.
이 표지가 무색하게 여전히 많은 시민들이 이곳에서 다이빙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소주병, 맥주캔이 보입니다.
양주병 옆에 누워있는 남성.
다이빙 경고 표지판은 옷걸이가 됐습니다.
막 물에서 나온 사람에게 위험하지 않냐고 물었습니다.
['다이빙 위험하지 않다'라는 시민 : (문제 삼는 쪽은) 걷다 넘어지고 뛰다 넘어지는 것까지 다 얘기하는 거죠. 사고 나는 건 진짜 드문 거고 한마디로 비행기도 떨어지면 무서운 거죠.]
또 다른 사람에게, 하지 말라는데 왜 하는 건지 물었습니다.
[방금 물 밖으로 나온 시민 : {제주시나 해경·소방에선 하지 말라고 하는 곳인데 하고 계신단 말이죠?} 여기 관리하시는 분이 안 오시니까 사람들이 계속 많이 뛰지 않나 싶고요. 하면 안 되는 게 맞는데 근데 이게 또 다이빙이라는 게 또 재미있기도 하고 그래서 좀 하는 것 같긴 해요.]
지난달 15일 새벽 시간 제주 한 해수욕장에선 20대 안전요원이 술을 마시고 다이빙을 하다 숨졌습니다.
문제는 술뿐만이 아닙니다.
수심이 얕은 간조 때를 확인하지 않고 무작정 물에 뛰어드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오혁진/김녕해수욕장 119시민수상구조대 안전팀장 : 외지인들은 바다를 보자마자 바로 다이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이빙 자체를 저는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게 잘못되면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닷가 다이빙을 금지할 규정은 없는 상황.
그래서 지자체와 해경이 '자제해달라'고 계도하는 수준입니다.
반론도 있습니다.
['다이빙 구역 만들자'라는 시민 : 워낙 좋아하는 다이버들도 있고, 바다 놀러 왔으니까 하는 분들도 있으니까 그냥 제주도 안에서 라이프가드나 안전요원을 배치해서 '이 구역에서만 하라'는 식으로 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취재 당일에도 다이빙 사고가 있었습니다.
또 다른 소셜미디어 인기 장소인 제주시 월령포구.
관광객이 수심 1.5미터 바다로 다이빙을 했고, 바닥에 머리를 부딪쳐 의식을 잃었습니다.
이곳이 바로 그 사고 현장입니다.
구조 당시 남성은 경추 손상과 사지마비 증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사고 현장 바로 아래에 이렇게 현수막이 한 장 있는데요.
잠깐 문구를 보여드리면 '현재 수위는 다이빙에 위험합니다'라고 경고 문구가 쓰여 있네요.
'휴가철에 여름 즐기는 것 가지고 왜 이렇게 유난 떠느냐'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요.
낭만이 사고가 되는 것 순식간입니다.
[작가 유승민 / VJ 박태용 / 취재지원 박찬영]
이가혁 기자 , 김영선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인생 사진 찍겠다, 소셜미디어 사진을 찍겠다는 이유로 위험을 무릅쓰는 경우가 있죠. 최근엔 제주 바닷가에서 다이빙 인증샷을 찍는 게 유행이라는데, 물 깊이도 모른 채 뛰어들었다 사지가 마비되고, 만취 상태로 뛰어들었다 숨지는 일까지 벌어집니다.
밀착카메라 이가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온라인에서 이른바 다이빙 성지, 다이빙 핫플레이스라고 불리는 제주시 세기알 포구입니다.
이쪽 보시면 '다이빙 위험지역'이라는 걸 알리는 안내문도 붙어 있는데요.
지금은 낮 시간이라서 사람이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지만 밤이 되면 이곳은 완전히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다이빙 사고가 잦은 이곳.
취재 이틀 전에도 사고가 났습니다.
[오혁진/김녕해수욕장 119시민수상구조대 안전팀장 : {그분은 물에 뛰어들었다가 사고 난 건가요?} 네, 다이빙을 하게 됐는데 머리를 바닥에 부딪히면서 (이송됐습니다.)]
술을 마시고 다이빙하는 사람도 있다는 증언도 나옵니다.
[손창우/제주 조천읍 : 일단 음주하는 것도 (보기에) 불편하고 쓰레기도 이렇게 보시면 불편하고 그러니까 도민들이 싫어하는 거예요. 어쨌든 불편하죠. 술 먹고 수영하는 건 아니잖아요. 기본적으로, 상식적으로.]
직접 실태를 확인해봐야겠습니다.
안전요원도 퇴근한 저녁, 바닷물이 들어차는 만조가 되자 사람들이 모여듭니다.
가로등에 의지해 바닷속으로 뛰어드는 사람들.
수십명이 포구에서 다이빙을 즐기고 있습니다.
가까이 가봤습니다.
지금 밤 10시가 넘은 시간입니다.
이쪽 보시면 다이빙 물놀이 위험지역 안내라고 해서 작년과 재작년에 이곳에서 어떤 사고가 있었는지 설명을 해 놓았습니다.
이 표지가 무색하게 여전히 많은 시민들이 이곳에서 다이빙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소주병, 맥주캔이 보입니다.
양주병 옆에 누워있는 남성.
다이빙 경고 표지판은 옷걸이가 됐습니다.
막 물에서 나온 사람에게 위험하지 않냐고 물었습니다.
['다이빙 위험하지 않다'라는 시민 : (문제 삼는 쪽은) 걷다 넘어지고 뛰다 넘어지는 것까지 다 얘기하는 거죠. 사고 나는 건 진짜 드문 거고 한마디로 비행기도 떨어지면 무서운 거죠.]
또 다른 사람에게, 하지 말라는데 왜 하는 건지 물었습니다.
[방금 물 밖으로 나온 시민 : {제주시나 해경·소방에선 하지 말라고 하는 곳인데 하고 계신단 말이죠?} 여기 관리하시는 분이 안 오시니까 사람들이 계속 많이 뛰지 않나 싶고요. 하면 안 되는 게 맞는데 근데 이게 또 다이빙이라는 게 또 재미있기도 하고 그래서 좀 하는 것 같긴 해요.]
지난달 15일 새벽 시간 제주 한 해수욕장에선 20대 안전요원이 술을 마시고 다이빙을 하다 숨졌습니다.
문제는 술뿐만이 아닙니다.
수심이 얕은 간조 때를 확인하지 않고 무작정 물에 뛰어드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오혁진/김녕해수욕장 119시민수상구조대 안전팀장 : 외지인들은 바다를 보자마자 바로 다이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이빙 자체를 저는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게 잘못되면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닷가 다이빙을 금지할 규정은 없는 상황.
그래서 지자체와 해경이 '자제해달라'고 계도하는 수준입니다.
반론도 있습니다.
['다이빙 구역 만들자'라는 시민 : 워낙 좋아하는 다이버들도 있고, 바다 놀러 왔으니까 하는 분들도 있으니까 그냥 제주도 안에서 라이프가드나 안전요원을 배치해서 '이 구역에서만 하라'는 식으로 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취재 당일에도 다이빙 사고가 있었습니다.
또 다른 소셜미디어 인기 장소인 제주시 월령포구.
관광객이 수심 1.5미터 바다로 다이빙을 했고, 바닥에 머리를 부딪쳐 의식을 잃었습니다.
이곳이 바로 그 사고 현장입니다.
구조 당시 남성은 경추 손상과 사지마비 증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사고 현장 바로 아래에 이렇게 현수막이 한 장 있는데요.
잠깐 문구를 보여드리면 '현재 수위는 다이빙에 위험합니다'라고 경고 문구가 쓰여 있네요.
'휴가철에 여름 즐기는 것 가지고 왜 이렇게 유난 떠느냐'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요.
낭만이 사고가 되는 것 순식간입니다.
[작가 유승민 / VJ 박태용 / 취재지원 박찬영]
이가혁 기자 , 김영선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앵커]
인생 사진 찍겠다, 소셜미디어 사진을 찍겠다는 이유로 위험을 무릅쓰는 경우가 있죠. 최근엔 제주 바닷가에서 다이빙 인증샷을 찍는 게 유행이라는데, 물 깊이도 모른 채 뛰어들었다 사지가 마비되고, 만취 상태로 뛰어들었다 숨지는 일까지 벌어집니다.
밀착카메라 이가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온라인에서 이른바 다이빙 성지, 다이빙 핫플레이스라고 불리는 제주시 세기알 포구입니다.
인생 사진 찍겠다, 소셜미디어 사진을 찍겠다는 이유로 위험을 무릅쓰는 경우가 있죠. 최근엔 제주 바닷가에서 다이빙 인증샷을 찍는 게 유행이라는데, 물 깊이도 모른 채 뛰어들었다 사지가 마비되고, 만취 상태로 뛰어들었다 숨지는 일까지 벌어집니다.
밀착카메라 이가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온라인에서 이른바 다이빙 성지, 다이빙 핫플레이스라고 불리는 제주시 세기알 포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