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주호, 이영호에 이어 이천수도 소신발언을 뱉었다. 이천수는 10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나와 "일단 협회가 시스템 없이 돌아갔다"며 입을 열었다.
이어 "외국인 감독으로 가는 척 하더니, 김도훈 감독 임시체제로 가더라. 그때부터 돌아가는 방향이 '협회가 외국인 감독 시스템이 하나도 없구나'하고 느꼈다. 국내 감독이 오겠구나 했다. 국내 감독으로 하려 했다면 빨리 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비판 강도는 더 올라갔다. 이천수는 "지금 축구가 장난인가? 능력이 안 되면 그만둬야 되는데 그걸 못한다"며 "후배가 한 마디 하면 무시하는...축구계 없어져야 할 풍토다. 위원장보다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사람은 자리도 구석에 앉는다. 말도 못한다. (박)주호는 외국생활 해서 그래도 조사하고 발표도 했다. 보통은 말 안 하고 들어주지도 않는다. 가장 심한 꼰대 문화다"고 말했다.
박주호에 대해 축구 선배로서 미안한 마음도 전했다. "선배들이, 축구인들이 멋있게 늙어야 되는데 멋이 없다. 얼마나 답답하면 주호 같은 후배가 나섰겠나. 난 주호에게 미안하다. 주호가 내부고발까지 하면서...솔직히 주호가 엄청 힘들어졌다"며 "선배들이 해야 하는데 후배가 나섰다. 얼마나 선배가 못났나"라고 자책했다.
![]() |
![]() |
대한축구협회는 지난 7일 남자축구 대표팀 사령탑으로 울산 현대 지휘봉을 잡고 있는 홍명보 감독을 앉힌다고 밝혔다. 모두가 깜짝 놀란 소식이었다. 그동안 대한축구협회는 외국인 감독들과 협상하기 위해 해외 출장을 여럿 다녀왔다.
홍명보 감독은 자신이 하마평에 오를 때마다 적극 부인했다. 오히려 자신이 대표팀 감독 후보로 언급되는 것 자체에 불쾌감을 나타냈다.
그런데 갑작스런 대한축구협회 발표로 축구 팬들은 당황했다. 더 큰 문제는 국가대표 감독 선임에 결정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전력강화위원회 소속 박주호 위원이 홍명보 감독 부임 사실을 기사로 처음 접했다는 것이다.
![]() |
![]() |
![]() |
당황한 표정이 역력했다. 박주호는 "전력강화위원회가 필요 없다고 진작에 얘기했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되니 (위원회가)필요 없다는 생각이, 확신이 든다"고 어이 없어했다.
이어 "정확한 절차가 아니다. 절대 아니다. 내가 안에 있었지만 모르겠다. 설명할 수가 없다. 맞는 말이 하나도 없다. (홍명보 감독이)안 한다고 했다가 된 거고, 며칠 안에 어떤 심경 변화가 있었는지 모르겠다. 그렇다면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은 왜 외국에 나가 감독 후보 4, 5명을 만난 건가. 이임생 총괄 이사는 유럽에 왜 간 것인가. 절차 안에서 이뤄진 게 아무 것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주호는 "지난 5개월이 너무 안타깝고 아쉽고, 진짜 허무하다"며 "누가 됐든 절차에 맞게, 게임 플랜과 한국축구에 맞는 사람이면 되는 거다. 그런데 같이 일하는 사람 입장에서 왜 홍명보 감독이 됐는지 정도는 알아야 되는 것 아닌가. 난 모르겠다. 이제까지 (전력강화위원으로)5개월 일했는데 너무 허무하다"고 밝혔다.
전력강화위원 회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심지어 몇몇은 위원들은 개인 욕심까지 채웠다고 했다. 박주호는 "어떤 위원들은 사리사욕을 챙기기 위해 감독 빈 자리에 들어가려고 한다. 연령별 대표팀 감독이나 국가대표 임시 감독 말이다"라고 폭로했다.
![]() |
사태가 커지자 대한축구협회는 9일 공식 입장문을 냈다. 박주호를 향한 경고 메시지였다. 불난 비난 여론에 기름을 붓는 격이었다.
대한축구협회는 박주호 위원의 발인어 "자의적인 시각으로 왜곡했다. 언론과 대중에게 커다란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심각한 우려와 유감을 표한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어 "위원으로서 자신이 지지한 바와 다른 결과에 대해 놀라고 낙심할 수는 있으나 결과가 내 예상이나 의도와 다르다고 해서 '절차가 아니다'라는 것은 위원으로서 바른 언행이 아닐 것이다"라고 박주호 위원을 저격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