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스1 언론사 이미지

박정훈 "'VIP 격노'에 이첩 보류하기로 생각 바꾼 것"…김계환은 '침묵'

뉴스1 임세원 기자
원문보기

박정훈 "'VIP 격노'에 이첩 보류하기로 생각 바꾼 것"…김계환은 '침묵'

속보
국정위, 해수부에 "부산 이전시 청사 임대 방안 검토해야"

박정훈 "김계환, 옷 벗을 각오로 장관에게 건의 하겠다" 주장

김계환 "박정훈과 얘기한 것 여기서 시시비비 들릴 말씀 없어"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관련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사건 개요 설명을 하고 있다. 2024.6.21/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관련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사건 개요 설명을 하고 있다. 2024.6.21/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서울=뉴스1) 임세원 기자 =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은 21일 'VIP 격노설'로 순직 해병 관련 수사 기록 '이첩 보류'에 대한 태도가 바뀌었다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주장에 답하지 않았다.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해병대원 특검법 입법청문회에서 박 전 수사단장은 "해병대의 할 일은 국방부 조사본부에 이첩하거나 계획대로 경찰에 넘겨야 하는 것이라고 얘기하니 김 전 사령관이 '내가 옷 벗을 각오 하고 장관님께 건의드리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박 전 단장의 발언은 김 사령관이 당시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순직 해병 관련 수사 기록을 경상북도경찰청에 이첩하는 것을 보류하라는 지시를 받고 부당함을 인지했다는 뜻이다.

앞서 국방부는 2023년 7월 31일 김 사령관에게 해당 사건의 이첩 보류를 명령했지만, 김 전 사령관은 이튿날인 8월 1일에야 이 요구를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내가 옷을 벗더라도 건의해 보겠다는 말은 이첩 보류 지시 등이 잘못됐다고 김계환 사령관이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냐"고 했다.

박 전 단장은 "정확하게는 죄명, 혐의자, 혐의 내용 등을 뺐을 때 이것은 큰 문제가 된다, 직권남용의 우려가 있다는 제 건의를 (김 사령관이) 받아들였다"며 "사령관도 상당히 압박받았던 것을 제 눈으로 목격했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이종섭 장관이나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VIP 격노 이후에 본인들의 생각을 바꾸었다고 우리가 생각할 수 있겠냐"고 했다. 이에 박 전 단장은 "결론적으로 그렇다"고 답했다.

정 위원장과 박 전 단장의 발언에 대해 김 전 사령관은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정 위원장은 화상으로 청문회에 참가한 김 사령관에게 "옷 벗을 각오를 하고 장관님께 건의드리는 방법도 있다"는 발언을 한 사실이 있냐고 물었다. 김 전 사령관은 "제가 박 대령이 얘기한 것에 대해서 여기서 시시비비 얘기 드릴 말씀은 없다"고 했다.


이에 정 위원장이 "그렇게 말했군요"라며 재차 묻자, 김 전 사령관은 약 3초간 침묵했다.

오후 6시 30분 증인 신문 종료를 앞두고 대국민 사과를 요구한 정 위원장에게 "현 안보 상황에서 국가에 가장 충실해야 할 해병대가 더 이상 정쟁 이해 대상이 되지 않도록 위원장 포함 위원들께서 힘 모아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한 김 전 사령관의 발언도 비판 대상이 됐다.

야당 의원들은 "이게 무슨 정쟁이냐"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도 "현직 해병대 총사령관으로서 국민들께 죄송하다는 기회를 주려는 좋은 생각이었는데 어떻게 이것을 정쟁으로 보냐"며 질타했다

say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