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일반인 심폐소생술은 위험? 그래도 하는 게 낫습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시 생존율 1.7배로↑

공공장소나 가정에서 누군가 급성 심정지로 쓰러졌을 때, 구급대나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성급히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오히려 환자가 위험해질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일반인이라도 심폐소생술을 한다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생존율을 70%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작년 상반기 급성 심장정지로 병원에 이송된 환자 1만6592명 중1만6391건(98.8%)을 대상으로 했던 ‘2023 상반기 급성 심장정지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세계일보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 급성 심장정지 발생 원인은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경우가 77.4%로 대부분이었다.

추락, 목맴, 운수사고 등 질병 외에 의한 경우는 21.7%였다.

발생 장소는 가정이 48.4%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8.8%(1442명)로 2022년 같은 조사 대비 1.0%포인트 증가했다.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 기능이 회복해 퇴원한 뇌기능회복률은 5.6%(922명)다.

2022년 대비 0.5%포인트 높아졌다.

구급대원이나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으로부터 병원 도착 전 심폐소생술을 받은 급성 심장정지 환자는 4258명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9.8%로 집계된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시 생존자 수는 597명, 뇌 기능 회복자는 425명이었다. 생존율은 14.0%, 뇌기능회복률은 10.0%다.

반면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은 1807명의 경우 생존율은 8.2%(149명), 뇌기능회복률은 4.6%(83명)으로 떨어졌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 시행할 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율은 1.7배, 뇌기능회복률은 2.2배 차이가 났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뇌기능회복률을 지속해서 향상하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게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향상할 수 있도록 중요성을 알리겠다”고 밝혔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