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SBS 언론사 이미지

"귀신의 집" 주민들 떤다…대단지인데 20년 넘게 '흉가'

SBS 민경호 기자
원문보기

"귀신의 집" 주민들 떤다…대단지인데 20년 넘게 '흉가'

속보
"에어인디아 추락 사고 사망자, 274명으로 늘어"-NDTV
<앵커>

짓다가 만 채로, 방치돼 있는 건물이 전국에 300곳 가까이나 됩니다. 20년 넘게 흉물로 있는 곳도 꽤 있습니다. 여기를 지나다니는 주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겠죠.

민경호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 이천에 있는 한 아파트 건설 현장입니다.

짓다 만 아파트 곳곳에 비계와 추락방지망이 남아 있습니다.


실내는 텅 비었고 단지 앞마당은 풀이 무성합니다.

이곳 건설현장은 지난 2002년 사업주체들 사이 벌어진 분쟁이 해결되지 않으면서 멈춰 섰고 20년 넘게 이런 모습으로 방치됐습니다.

그 사이 몇 차례 경매가 이어진 끝에 2016년 현재 소유주가 낙찰받았지만 공사는 재개되지 못했습니다.



아파트 진입로 부지만 다른 사람이 사들이면서 진입 도로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땅 소유주들의 협의도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여전히 흉물로 남아 있습니다.

[인근 주민 : 얼마나 무서운데, 밤에는. 엄청 무서워. 완전 흉물이지 저거는. 진짜 없어야 해. 만약에 살인 사건 같은 거 일어나 봐, 끌고 와서….]


경기 용인에 있는 이 10동짜리 아파트 건설현장은 지난 2002년 시행사가 부도나면서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20년 넘게 새 시행사를 찾지 못하면서 폐허로 남았습니다.

[인근 주민 : 시의원이나, 먼저 번에 국회의원한테 얘기도 해보고 그러는 데 잘 안 되더라고. 저렇게 놔두면 귀신의 집 밖에 더 돼요?]

이렇게 2년 이상 공사가 중단된 건물은 전국에 286곳, 그중 60% 가까이는 15년 넘게 방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5년 시장이나 군수가 안전상 위험한 건물을 철거할 수 있도록 방치건물정비법이 제정됐지만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시청 관계자 : 붕괴 우려가 있거나 그런 극단적인 상황의 경우 철거를 할 수 있는 내용인데….]

[△△시청 관계자 : 철거를 해서 보상을 해줘야 하는데 그 보상을 해주기가 만만치가 않은 거죠.]

전문가들은 방치건물정비법 적용대상을 확대하거나, 철거나 완공이 어려울 경우 부지를 임시 공영주차장으로 활용하는 등의 대안 모색도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VJ : 이준영)

민경호 기자 h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