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높은 반면 의사결정 영역 '최하'…성평등 상위 '서울·광주·대전·세종·제주'
'셋째 이상 출생성비' 지표 삭제 등 사회변화 맞춰 측정체계 개편
남과 여 (PG) |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우리나라의 양성평등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국가성평등지수'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022년 국가성평등지수'가 65.7점으로, 전년도 조사(65.5점)보다 0.2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성평등지수는 3대 목표·7개 영역·23개 지표에 걸쳐 남녀의 격차(gap)를 측정하며 완전한 평등 상태는 100점, 완전 불평등 상태는 0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영역별 성평등 수준으로는 교육(95.4점), 건강(92.4), 양성평등의식(80.0), 소득(78.5), 고용(74.0), 돌봄(31.4)·의사결정(30.7) 등의 순이었다.
교육과 건강, 돌봄과 의사결정 영역 간에 큰 격차를 보였다.
세부 지표별로는 평균 교육연수 성비가 2021년 조사 90.6점에서 0.3점 오른 90.9점, 여성 인권에 대한 인식이 82.7점에서 1.9점 상승한 84.6점으로 파악됐다.
고용률도 같은 기간 76.7→78.0점, 경력 단절 여성 비율 82.6→82.8점, 정규직 비율 76.2→77.8점으로 개선됐다.
반면 의사결정 영역의 장관 비율(38.5→20.0점)은 전년보다 크게 떨어지며 최하점을 기록했다. 관리자 비율(25.8→22.5)도 하락했고, 가사노동 시간·육아휴직 사용·노인 돌봄 분담은 각각 30.7점, 31.7점으로 낮은 수준에서 제자리걸음을 했다.
여가부는 이번 조사부터 대폭 개편된 지표를 반영했다.
'셋째(아) 이상 출생성비'나 '가족관계 만족도' 등 요즘 사회 변화에 부합하지 않거나 비교적 성평등 수준이 높은 지표는 삭제하는 대신 성평등 수준 향상을 위해 보다 도전적인 개별 지표를 추가해 측정 체계를 손봤다.
추가된 지표는 '노동시장 직종분리', '국민연금 수급률', '노인 돌봄 분담' 등 저출산·고령화, 노동시장 변화 관련으로, 우리 사회 변화를 엿볼 수 있는 지표들이라고 여가부는 전했다.
'국가성평등지수' 측정체계 개편 |
지역성평등지수도 새롭게 개편된 측정체계에 따라 조사됐다.
전국 17개 지역의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등급으로 구분한 결과 상위지역은 서울·광주·대전·세종·제주시가, 하위지역에는 충북·전남·경북·경남이 꼽혔다.
중상위로는 부산·대구·경기·충남이, 중하위에는 인천·울산·강원·전북이 분류됐다.
여가부는 개편 전 지표로도 국가성평등지수를 산출했다.
기존 방식에 따른 2022년 국가성평등지수는 76.0점으로, 전년(75.4점)보다 0.6점 상승했다.
영역별로는 여성 인권·복지 영역(83.4점)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성평등의식·문화(76.7점), 사회참여(69.8점) 순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보건 분야(97.7점)가 최고점을 기록했다. 반면 국회의원·4급이상 공무원 성비 등 의사결정 분야(37.1점)는 최저점을 나타났다.
연도별 국가성평등지수는 2017년 72.0점, 2018년 73.1점, 2019년 73.9점, 2020년 74.9점, 2021년 75.4점, 2022년 76.0점으로 매년 상승세를 그렸다.
기존 지표에 따른 17개 지역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등급으로 구분한 결과 상위에는 서울·광주·대전·세종·제주가, 하위에는 울산·전남·경북·경남이 포함됐다.
[그래픽] 2022년 국가성평등지수 |
eddi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