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YTN 언론사 이미지

EU 탄소세 '코앞'...우리 기업 '전전긍긍'

YTN
원문보기

EU 탄소세 '코앞'...우리 기업 '전전긍긍'

속보
위성락 안보실장, 일본 총리보좌관과 조찬…"양국 관계발전 논의"
물류 장비 수출업체, 탄소배출량 요구에 당황
"부품 크기·소재 다 다른데…배출량 계산 못 해"
"해외 원재료 업체서 '탄소배출량' 비공개…난감"
중기부, 'EU 수출 중소기업'에 컨설팅 등 지원
[앵커]
유럽연합이 2026년 본격적인 탄소국경세

시행을 앞두고, 지난해 말부터 우리 수출 중소기업에게도 각종 의무를 부과했습니다.

준비가 되지 않은 중소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관련 대책을 내놨습니다.

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폴란드에 첨단 물류 장비를 수출해온 이 업체는 지난해 고객사의 요구를 받고 크게 당황했습니다.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을 문서로 제출하지 않으면 벌금을 물 수도 있다는 EU 방침 때문이었습니다.

[김재율 / 코아테크시스템 대표 : 저희 같은 중소기업들은 시간적으로 비용적으로 인적 인프라 적으로 상당히 열악한 상태거든요. 처음에, 지금도 사실 막막한 건 사실입니다.]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는 철강, 알루미늄 등 6개 품목의 생산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이, EU 자체 제품보다 많을 때 그 차이만큼 수출 기업에 비용을 부과합니다.

2026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지난해 10월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갔고, 올해 3분기부터는 정확한 탄소배출량을 제출해야만 합니다.

준비가 부족한 중소기업 입장에선 막막하기만 한데, 탄소배출량을 제출하려고 해도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이렇게 각기 다른 크기의 철강,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해 완제품이 만들어지는 만큼, 정확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기도 어렵습니다.

원재료를 제련·가공하는 단계에서 얼마나 탄소가 배출됐는지 알아낼 방법도 없습니다.

[이승훈 / 한국비철금속협회 본부장 : 인도나 호주, 중국, 러시아 쪽에서 원료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제련) 공정에 대한 (탄소) 배출 정보를 명확하게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유럽에 수출하는 데 있어서 자료 제출이 쉽지 않은 환경에 처해 있습니다.]

숙제를 떠안은 중소기업만 1,300여 곳, EU 수출기업의 73%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자, 결국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수출 규모가 큰 기업부터 일대일로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등을 컨설팅하고 인증서 구입 등을 직접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여기에 근본적인 탄소 감축을 위한 지원도 함께 발표했습니다.

[오영주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탈탄소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역량의 차원에 있어서 새로운 제도와 기반을 만들어가는….]

탄소국경세를 시작으로 전 세계적인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우리 중소기업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YTN 박기완 입니다.

촬영기자;김정원
디자인;오재영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이벤트 참여하고 선물 받아 가세요!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