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과일값 상승과 유가 불안에 고물가 압박이 심해진 가운데 향후 1년 뒤 국민들이 예상한 소비자물가 상승률(기대인플레이션율)이 이번달 소폭 꺾였다. 정부가 지난달부터 1500억원의 긴급 농축산물 가격안정 자금을 무제한 투입해 신선식품 위주로 할인 판매를 지원한 영향이 컸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주춤했지만 향후 물가를 낙관하기는 이르다. 최근 미국이 이란산 원유 제재 확대에 나서며 재차 중동발 유가 변동성이 커지고 있고, 올 하반기 교통비, 도시가스를 비롯한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중동 분쟁 격화로 유가가 급등하면 연말 물가상승률이 최대 4.9%까지 오를 수 있다고 우려한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달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1%로 전월(3.2%)에 비해 0.1%포인트 내렸다. 1~2월 3.0%를 기록했다가 지난달 3.2%까지 오른 후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1년 후 물가에 대한 소비자 전망을 나타내는 물가수준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도 145로 전월보다 1포인트 낮아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대인플레이션율은 국민들이 현 상황을 바탕으로 내다본 미래의 물가상승률이다. 앞으로 예상되는 물가에 따라 현재 수입과 소비 수준을 판단하기 때문에 실제 물가에 한발 앞서 움직이는 지표로 통한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정부가 농산물 할인 지원 정책을 펴면서 대형마트에서 체감하는 농산물 가격이 내려간 것이 기대인플레이션율에 영향을 줬다”면서도 “중동 긴장고조에 따른 환율 상승(원화값 하락)이나 국제유가 추가 상승 상황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경제인협회는 ‘국제유가 충격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중동 지역에서 현재 긴장 상태가 유지되며 국제 유가가 배럴당 88.6달러선에 머문다면 연말 물가 상승률은 3.0%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중동 분쟁이 국지전으로 번지면 유가는 97.5달러, 4분기 물가 상승률은 3.4%까지 오를 전망이다. 또 이란과 이스라엘간 전면전이 터지면 유가는 148.5달러까지 치솟고, 4분기 물가 상승률은 4.9%까지 급등할 것으로 예측됐다. 최악의 경우 유가가 현재(브렌트유 88.8달러·두바이유 89.4달러) 수준 보다 66~67% 더 뛸 수 있다는 얘기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유가 급등 따른 물가 불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유 도입선 다변화, 비축량 확대 등 원유 수급대책을 사전에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최근 가격 강세가 이어진 배추·양배추·포도·김을 비롯한 7개 품목에 낮은 할당관세를 적용해 가격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물가안정 관련 현안 간담회를 갖고 토마토·당근을 비롯한 25개 품목에 납품 단가를 지원하고, 명태·고등어·오징어처럼 국민들이 많이 소비하는 6개 어종의 정부 비축물량을 전량 풀기로 했다.
정부는 또 가공식품 시장을 포함해 부문별 경쟁 정도를 분석해 담합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신속히 조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서울시와 경기도 420개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37개 생활필수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 25개 품목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올랐다고 밝혔다. 품목별 설탕 가격 상승률이 18.7%로 가장 높았고, 아이스크림 12.5%, 케첩 9.7%, 기저귀 7.8%, 된장 6.9%이 뒤를 이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