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물가와 GDP

6개월마다 가격올린 기업들 "생활필수품 고물가 부추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기업이 코로나19 이후 비용 압력에 대응해 그 전보다 상품 가격을 더 자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가 상승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최근처럼 물가가 많이 오르는 시기에는 유가 상승 같은 비용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흡수됐다는 분석도 나왔다.

11일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 가격 조정 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국내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를 조사한 결과 2018∼2021년 월평균 11%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했다. 이는 해당 기간에 기업이 실제로 가격을 인상·인하한 횟수의 월평균 비율을 의미한다. 해당 월에 가격을 조정할 확률로 볼 수 있으며, 할인 같은 일시적인 가격 조정은 제외됐다.

이 같은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상품 가격을 유지한 기간이 같은 기간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된 것이다. 코로나19 이전에는 가격을 연 1.3회 정도 인상했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한 해 동안 약 두 번 올렸다는 의미다. 가격을 한 번 올릴 때 인상률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기업은 제품 가격을 올릴 때 폭보다 빈도를 조정하는 전략을 취했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과 민감도, 경쟁 제품으로 대체되는 효과를 고려한 결정이라고 분석했다.

또 고물가 기간에 할인 등 일시적 가격 조정이 늘면서 같은 상품이어도 판매처별로 가격 편차가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기업들이 재고 상황이나 고물가로 나타난 수요 변화에 따라 일시적인 가격 조정을 활용한 셈이다. 코로나19 전후 인상 빈도 증가율이 높은 생필품은 주로 조미료·식용유지, 축산·수산물 가공품처럼 수입 원재료 비중이 커 비용 압력을 많이 받은 품목이었다. 반대로 주류, 가사 용품은 증가율이 비교적 낮았다.

[한상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