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정복 반야로차도문화원 원장
‘효당 최범술의 불교와 차도’ 펴내
최근 ‘효당 최범술의 불교와 차도(茶道)’(민족사)를 펴낸 채정복(78) 반야로차도문화원 원장은 비장하게 말했다. 효당(曉堂) 최범술(1904~1979)은 어떤 범주에 묶기 어려운 ‘르네상스적 인물’. 승려이면서 독립운동가 박열과 함께 흑우회(불령선인회) 활동을 했고, 만해 한용운이 중심이 된 일제하 불교 비밀 결사 ‘만당(卍黨)의 핵심이었고, 원효대사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하는 데 앞장섰으며,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1937년 인경(印經)하고 광복 후엔 제헌 의원도 지냈다. 특히 당시까지 잊힌 한국 차 문화의 중흥조 초의(草衣) 선사를 세상에 널리 알리는 한편 저서 ‘한국의 차도(茶道)’를 펴내고 차의 대중화를 이끈 선구자다.
저자는 1969년 연세대 사학과 졸업 논문의 주제로 원효를 준비하며 효당을 처음 대면했다. 스승인 민영규(1915~2005) 교수가 “일본 대정대(大正大) 선배인데 원효 스님 자료가 많다”며 효당에게 지도받기를 권했다. 1969년 경남 사천 다솔사로 찾아간 저자에게 효당이 먼저 가르친 것은 마음을 내려놓는 ‘하심(下心)’. 어려서 ‘수재’로 소문나 기(氣)가 하늘을 찌르던 채 원장이었다. “저에게 ‘지적 욕구가 너무 강하다’며 얇게 깎은 대나무칼을 주면서 마당 잡초를 뽑으라고 했어요. 그 밖에도 댓돌에 가지런히 신발 벗어놓는 법, 문고리를 소리 없이 닫는 법…. 도(道)가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신 것이죠.”
효당 문하에서 지도받고 졸업 논문을 쓴 그는 1971년 다솔사로 내려와 “부처님 앞에서 촛불 켜고, 향 피우며” 효당의 아내가 됐다. 효당은 1942년 만해 한용운의 권유로 결혼했다가 1964년 이혼한 상태였다. 원효의 ‘효(曉)’를 호로 삼은 효당은 채 원장에겐 ‘원(元)’ 자를 넣어 ‘원화(元和)’란 법호를 주면서 ‘도반(道伴)’으로 대우했다. 다솔사에는 효당을 찾아온 이은상·구상 등 문인, 허백련·장우성·변종하 등 화가, 작곡가 강석희 등 예술가들로 넘쳐났다. 유신 긴급조치 위반자들이 머리 깎고 들어오기도 했고, 정보기관원이 고시생으로 위장해 살기도 했다. 채 원장은 “화가들이 즉석에서 그림을 그려 병풍을 만들 정도였다. 마음은 풍요롭고 행복한 시절이었다”고 했다. 그러나 1남 1녀를 얻은 결혼 생활은 짧았고, 지난한 현양 사업은 그의 몫으로 남았다.
효당은 생전에 ‘물을 돈 주고 사 먹는 시절이 오면 차도(茶道)가 성행할 것’이라고 했다. 효당 사후 ‘늪에 빠진 듯’했던 채씨는 “꽃꽂이 강습 때 차도를 가르쳐달라”는 권유로 시작해 1983년 ‘반야로(般若露)차도문화원’을 열었다. 생전에 차나무를 심고 가꾼 효당의 차 제조법과 문화를 그대로 이었다. 단순히 차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명상과 선사(禪師)의 어록을 강독하는 등 차와 선(禪)을 함께 가르쳤다. 차 문화를 보급하는 한편 2009년 한국외대 박사과정에 입학해 본격적으로 효당의 삶과 업적을 학문적으로 정리해 2년 전 박사학위를 받고 이번에 단행본으로 펴냈다. 채 원장은 “효당은 불교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고, 항상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았다”며 “원효와 초의를 연구한 것도 불교와 차 문화의 자생적 원류를 찾으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효당의 삶과 업적을 그렇게 정리했더니 ‘쉽게 이해된다’는 평이 있는데, 칭찬인지 핀잔인지 모르겠다”며 웃었다.
[김한수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