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물가와 GDP

멀어진 美 3월 인하, 한은 상반기 '피벗'도 난망…관건은 물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3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작아지면서 한국은행도 올 상반기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서기 어려울 전망이다.

미 Fed는 지난달 30~31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를 일축했다. "두고 봐야겠지만 FOMC가 3월 회의 때 (금리를 인하할 만큼) 확신에 도달할 것으로 생각하진 않는다"면서다.

중앙일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은도 22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9연속 기준금리(3.50%) 동결을 이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한은은 앞서 지난달 금통위에서 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배제하는 대신, 인하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못 박았다. 시장 기대감은 커지고 있지만, 물가 둔화 지연·가계부채 불안 등으로 금리를 바로 내리기 쉽지 않다는 기류가 깔려있다. '서두르지 않겠다'는 Fed의 신중한 태도에 인하를 둔 한은의 고민도 뒤로 늦춰지게 된 셈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1일 한국최고경영자포럼 기조강연에서 "미국 금리 내려가는 속도가 늦어지면 우리 통화정책도 영향받게 돼 그만큼 금리 인하 속도가 늦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말했다.

시장에선 미국이 이르면 2분기 인하에 나서고, 한은이 3분기 이후 움직이는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물가·고용 지표가 여전히 고공 행진하는 만큼 빠르면 6월, 아니면 7~8월은 돼야 금리 인하를 시작할 거라고 본다. 그러면 한국도 하반기는 돼야 금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김영희 디자이너



국내 금리 인하 시점이 움직이는 데 영향을 줄 요인은 물가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연말 3%대 초반으로 내려왔지만 안심하긴 이른 상황이다.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2%)까지 안착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금통위원 발언이 여럿 나왔다. 한은은 올해 상·하반기 물가 상승률을 각각 3.0%, 2.3%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한은에선 긴축 완화를 서두르다 물가가 다시 튀어 오르는 리스크를 경계하고 있다. 지난달 말 발표한 보고서에선 유류세 인하 종료, 공공요금 인상 같은 막바지 위험 요인을 강조했다. 이 총재도 1일 "(국내) 생활물가가 여전히 높으니 기대 인플레이션 조정까진 상당 기간 걸릴 것"이라면서 "섣불리 금리를 낮췄다가 다시 올리면 상당한 무리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예상보다 빨리 물가가 2% 수준에 안착하면 시장 기대대로 인하 시점이 당겨질 가능성도 남아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