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사우디서 순찰하던 바레인군 사망…엑스포 유치 ‘빨간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사우디서 바레인군 사상 규탄”

인권 탄압 사우디 엑스포 유치 악재로 떠올라

“사우디, 2030세계엑스포의 정신과 완전히 모순”

쿠키뉴스

예멘 후티 반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남부 국경지대에서 바레인군이 공격을 받아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간 국제사회에서 사우디를 향한 ‘인권 탄압’ 우려가 끊이지 않은 만큼, 사우디의 2030세계엑스포 유치 행보에도 빨간불이 켜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알지자라 등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사우디와 예맨의 남부 국경지역에서 순찰 중이던 바레인 군인 2명은 후티 반군의 드론 공격에 의해 사망했다. 이번 공격은 사우디가 후티 반군과 평화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발생했다. 예멘 내전을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예멘 내전은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운동의 여파로 인한 정치적 불안 속에 후티가 예멘 정부를 2014년 수도 사나에서 몰아내며 시작됐다. 사우디는 후티가 예멘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해 2015년부터 예멘 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해왔다. 2018년 유엔의 중재로 정전협약이 체결됐지만 갈등은 이어지고 있다. 후티 반군은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고, 사우디는 예멘 정부군을 지원하고 있는 상태다.

한국 외교부는 지난 2일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우리 정부는 사망한 바레인 군인 및 유가족에 진심 어린 애도를 표하며 부상자들의 조속한 회복을 기원한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이번 공격을 규탄하며, 모든 관련 당사자가 예멘 내 평화와 안정 달성을 위한 노력에 역행하는 긴장 고조 행위를 최대한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쿠키뉴스

2022년 11월 사우디로 입국하려다 공격을 받아 다리를 잃은 에티오피아인. 휴먼라이츠워치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우디의 인권탄압 및 불안정한 정국에 대한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사우디 국경수비대가 최근 15개월간 아프리카 이주자 수천 명을 학살하고 생존자들의 인권을 참혹하게 유린했다는 국제인권단체의 폭로가 나왔다.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 국경수비대는 총·폭발 무기 등을 사용해 비무장한 이주민을 공격했다. 박격포까지 동원해 수십 명을 한 번에 학살했다.

트위터와 유튜브 활동만을 근거로 사형을 선고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체제 인사의 가족을 본국으로 강제 송환하기 위한 보복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조이 셰아 HRW 사우디 연구원은 “사우디 당국은 이제 불공정한 재판뿐만 아니라 사형 위협까지 온라인 비판에 의지하고 있다”라며 “단순히 비판적인 트윗이 사형 선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권리를 존중하는 사회가 되겠다는 사우디 지도부의 공약이 어떻게 의미가 있는지 알기 어렵다”고 질타했다.

이번 폭로를 계기로 2030세계엑스포 유치 가능성에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2개에 달하는 인권단체는 ‘2030세계엑스포’ 주최 측에 사우디를 유치 후보국 지위에서 제외할 것을 촉구했다. 제네바에 본부를 둔 MENA 인권단체의 커뮤니케이션 담당관인 자이납 파야드(Zeinab Fayad)는 BIE에 “만약 사우디의 후보 등록이 통과되고, 2030년 세계 엑스포를 개최하게 된다면 이는 전 세계가 사우디의 끔찍한 기록을 덮어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라며 “사우디의 행동은 세계 엑스포의 정신과 완전히 모순된다”고 말했다고 지난 5월 중동 전문 매체 미들이스트아이(MEE)는 보도했다.

최은희 기자 joy@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