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500만 가입자 임박' 몸집 커진 알뜰폰 시장…"지원 대 자생" 설왕설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단순한 재정 지원보다 투자 촉진 등 발전 유도해야"

"평균 영업이익률 3~4% 불과…도매제공 의무 상설화해라"

뉴스1

사진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알뜰폰 스퀘어 매장 모습. 2022.6.21/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알뜰폰 가입자가 1500만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가성비' 전략에 힘입어 외형 성장을 달성한 알뜰폰 업계를 두고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반면 중소 알뜰폰 업체들은 여전히 경영 상황이 열악하다며 지원책을 요구한다.

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국내 알뜰폰 가입자 수가 곧 150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 통계에 의하면 지난 7월 알뜰폰 가입자 수(회선)는 약 1469만명이었다. 최근의 증가 추이를 이어가면 이달 중 15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2011년 처음 도입된 알뜰폰은 이제 통신 시장의 주축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알뜰폰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이용자를 끌어들였다. 처음 알뜰폰 비중은 0.76%에 불과했지만 지난 7월 기준 점유율은 18.2%까지 늘어났다.

정부는 가계 통신비 인하 방침에 따라 알뜰폰 육성 및 지원책을 약속했다. 지난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도매제공 의무제도를 상설화하고 도매대가 산정 방식을 다양화한다고 발표했다.

현행법상 통신사는 알뜰폰 사업자에게 망을 의무 제공해야 한다. 해당 제도는 지난 2010년 첫 시행 이후 일몰이 되면 연장되는 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간 알뜰폰 업계는 연속성과 투자 활성화를 위해 일몰제가 아닌 상설화를 요구했다.

반면 알뜰폰 사업자들이 자생력을 갖추도록 일몰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꾸준하다. 정부 지원책으로 알뜰폰 사업자들이 영업이익을 올린 반면 자체 설비 투자에는 소홀했다는 지적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과기정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독립계 알뜰폰 사업자들의 최근 5년간 영업이익은 1000억원에 달했다.

특히 현재 알뜰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이통3사 자회사와 금융권 알뜰폰에서의 공격적인 마케팅 및 프로모션으로 적자를 기록한 점이 알뜰폰 전체 시장의 수익성 지표를 왜곡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윤영찬 의원은 "단순한 재정 지원보다는 투자 촉진 및 이용자 보호 강화 등 알뜰폰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알뜰폰 업계는 경영 상황이 여전히 열악하다고 반박한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KMVNO)는 "독립계 알뜰폰 사업자 수가 60여개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업당 연평균 이익이 3억3000만원"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또 알뜰폰 사업자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3~4%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협회는 "알뜰폰 사업은 시한부 사업"이라며 "이동통신사가 언제 도매제공을 중단한다고 할지 눈치만 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알뜰폰 업계 지원책을 두고 이견이 나오면서 관련 법안도 국회에서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달 20일 국회 과방위 법안심사소위가 열렸지만 알뜰폰 도매대가 관련 법안의 의결은 보류됐다.

g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