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1.29%, S&P500 1.37%, 나스닥 1.87% 각각 하락
![]() |
NYSE 트레이더들. ⓒ 로이터=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고용 지표가 여전히 좋은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국채수익률(시장금리)이 급등하자 미국증시가 일제히 1% 이상 하락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는 1.29%, S&P500은 1.37%, 나스닥은 1.87% 각각 하락했다.
이는 일단 채권수익률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미국 채권의 벤치마크인 10년물 수익률은 전일보다 0.09%포인트 급등한 4.77%를 기록했다. 이는 16년래 최고치다.
이는 전월 일자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노동부는 이날 전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를 발표했다. 8월 구인 건수는 960만 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월의 883만개보다 증가한 것은 물론 시장의 예상치인 882만개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연준의 간부들이 오랜 기간 고금리가 지속될 것이라고 잇달아 발언했다.
전일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은 "연준이 상당 기간 고금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발언했고, 미셸 바우먼 연준 이사는 "한 차례가 아니라 수 차례 금리인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뿐 아니라 이날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도 “내년까지 현재의 금리를 유지해야 한다”며 “고금리가 장기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라파엘 보스틱 앤틀랜타 연준 총재가 한 포럼에서 연설하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같은 경고가 이어지자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연방기금금리(미국의 기준금리는) 선물은 연준이 11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확률을 31%로 반영하고 있다. 전일에는 27%였고, 1주일 전에는 16%에 불과했었다.
![]() |
CME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종목별로는 엔비디아가 3% 가까이 급락하는 등 반도체주가 일제히 하락,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가 2% 이상 급락했다.
전기차도 테슬라가 2.02%, 리비안이 8.33% 급락하는 등 니콜라를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대형 기술주들도 일제히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2.61%, 아마존이 3.66%, 페북의 모회사 메타가 1.92%,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1.38%, 애플이 0.78% 각각 하락했다.
sino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