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7일 쉬는 추석 황금연휴가 또 있다네요, 언제일까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10월 3일 오후 서울역 승강장으로 돌아온 탑승객들이 역사를 빠져 나가고 있다. / 장련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간아 멈춰라” “6일이 6초처럼 지나갔다”

엿새에 이르는 추석연휴가 3일 마무리되면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아쉬움을 토로하는 글들이 올라오는 가운데, 2년 뒤 다가올 황금연휴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2025년 추석에는 이미 7일간의 휴일이 확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번 추석은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추석 연휴 첫날인 9월 28일부터 개천절인 10월 3일까지 긴 연휴가 됐다. 임시공휴일은 정부가 필요에 따라 지정할 수 있는 휴일로 유급휴일 보장을 받는다. 추석 다음날이 토요일과 겹치면서 10월 2일을 대체공휴일로 알고 있는 이들도 있지만, 설·추석 연휴는 예외적으로 일요일과 겹치는 경우만 대체공휴일이 적용된다.

올해 추석처럼 긴 명절을 지내는 날은 언제일까. 당장 내년 설 연휴(2월 9일~12일)는 쉬는 날이 나흘에 불과한데다 주말이 끼어있다. 내년 추석 연휴는 쉴 수 있는 기간이 5일로 이번 연휴보다 하루가 줄어든다.

조선일보

2025년 추석 '꿀 연휴'에 시선이 모이고 있다./ 네이버 달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내후년인 2025년 추석에는 7일을 연이어 쉬는 역대급 연휴가 기다리고 있다. 10월 3일 금요일 개천절을 시작으로 주말을 거쳐 8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이다. 그 다음 날은 목요일 한글날(9일)이 붙어있어 일주일의 연휴가 완성된다. 이번 추석처럼 10월 10일 금요일까지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최장 열흘 간 연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이에 “2025년 추석에는 어디든 가야겠다” “2년 뒤를 생각하며 버텨야겠다” “벌써부터 비행기 티켓을 찾아보게 된다” 등의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편 임시공휴일은 국무회의와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지정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내수진작과 경기둔화를 막기 위해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최혜승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