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10월 3일 오후 서울역 승강장으로 돌아온 탑승객들이 역사를 빠져 나가고 있다. / 장련성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간아 멈춰라” “6일이 6초처럼 지나갔다”
엿새에 이르는 추석연휴가 3일 마무리되면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아쉬움을 토로하는 글들이 올라오는 가운데, 2년 뒤 다가올 황금연휴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2025년 추석에는 이미 7일간의 휴일이 확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번 추석은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추석 연휴 첫날인 9월 28일부터 개천절인 10월 3일까지 긴 연휴가 됐다. 임시공휴일은 정부가 필요에 따라 지정할 수 있는 휴일로 유급휴일 보장을 받는다. 추석 다음날이 토요일과 겹치면서 10월 2일을 대체공휴일로 알고 있는 이들도 있지만, 설·추석 연휴는 예외적으로 일요일과 겹치는 경우만 대체공휴일이 적용된다.
올해 추석처럼 긴 명절을 지내는 날은 언제일까. 당장 내년 설 연휴(2월 9일~12일)는 쉬는 날이 나흘에 불과한데다 주말이 끼어있다. 내년 추석 연휴는 쉴 수 있는 기간이 5일로 이번 연휴보다 하루가 줄어든다.
![]() |
2025년 추석 '꿀 연휴'에 시선이 모이고 있다./ 네이버 달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내후년인 2025년 추석에는 7일을 연이어 쉬는 역대급 연휴가 기다리고 있다. 10월 3일 금요일 개천절을 시작으로 주말을 거쳐 8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이다. 그 다음 날은 목요일 한글날(9일)이 붙어있어 일주일의 연휴가 완성된다. 이번 추석처럼 10월 10일 금요일까지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최장 열흘 간 연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최혜승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