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석 와르르 관광객 4명 부상
잇단 사고에 적극 통제 안 해
![]() |
차량 덮친 돌더미 울릉도 거북바위가 무너진 지난 2일 경북 울릉군 서면 남양리의 붕괴 사고 현장에 돌무더기가 어지럽게 널려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경북 울릉 거북바위 붕괴 사고는 ‘예고된 인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행정당국의 미흡한 안전조치와 관광객들의 안전불감증 탓에 자칫 더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뻔했다.
3일 울릉군과 관광객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울릉군 서면 남양리 통구미 거북바위 인근에는 평소에도 낙석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크고 작은 낙석 때문에 거북바위는 캠핑과 수영 등의 행위가 금지된 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어른 키만 한 10t가량의 돌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울릉군은 거북바위 인근에 설치돼 있던 낙석주의 표지판을 1개에서 4개로 늘리고, 위험 반경에 접근을 막기 위한 붉은색 선을 그었다.
하지만 울릉군은 철조망이나 울타리를 치는 등 사람의 접근을 막는 적극적인 조치는 하지 않았다. 평소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명소라는 게 이유였다. 대신 공무원들이 수시로 관광객들에게 위험지역임을 알리고 야영을 하지 말 것을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울릉군 관계자는 “(지난해 사고 이후) 안전펜스 설치를 고려했지만 거북바위가 워낙 유명한 관광지여서 관광객들의 출입까지 막는 건 무리라고 판단했다”면서 “경고 표지판 수를 늘리는 등의 선에서 (대책을) 보완했다”고 말했다.
울릉도는 섬 곳곳에 급경사 구간이 많아 일주도로변 등에서 상시 붕괴 위험이 있다는 게 울릉군의 설명이다. 지난달 24일에도 울릉군 북면 노인봉 인근에서 산사태가 나 도로가 폐쇄되기도 했다.
사고가 난 거북바위는 평소 캠핑과 프리다이빙 및 스쿠버다이빙 명소로 이름난 곳이다.
휴일이면 100여명이 몰려 주차할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라는 것이 주민들의 이야기다. 다만 이번 사고는 추석 연휴에 발생해 평소보다 관광객 수가 적었다.
백경열 기자 merci@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