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전 마지막 ‘민심 가늠자’ 구청장선거 주목
![]() |
달아오르는 화곡역 오는 11일 치러질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일주일여 앞둔 3일 강서구 화곡역 교차로에서 여야 관계자들이 선거유세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당 김태우 ‘일꾼론’ 강조에 야당은 ‘보궐선거 책임론’ 맞서
영장 기각 등 반영 촉각…윤 대통령 국정 운영에도 영향 줄 듯
여야가 김태우 전 구청장의 구청장직 상실로 오는 11일 치러지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 온 힘을 쏟고 있다. 내년 4월 총선 전 마지막 선거인 만큼 총선 민심의 가늠자가 될 수 있어서다. 강서구청장 선거 결과에 따라 김기현 국민의힘·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중 한 명은 큰 타격을 입는 게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지도부는 이날까지 6일 동안 이어진 추석연휴 기간내내 강서구를 찾아 선거운동 지원에 나섰다.
김 대표는 이날 예정된 기자간담회를 취소하고 자당 김태우 후보 지원에 전력했다. 김 대표는 김 후보와 함께 한국공항공사 자회사 전국공항노동조합 간담회에 참석해 “이번 선거는 일꾼을 뽑을 것이냐 아니면 정쟁을 하는 낙하산을 뽑을 것이냐, 민생이냐 정쟁이냐 선택의 문제”라고 규정했다.
이날 윤재옥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의원 약 30명이 김 후보 지원 유세에 나섰다. 이철규 사무총장은 김 후보가 본인 귀책으로 치러지는 보궐선거에 출마한 것에 대한 비판에 “혈세 40억원이 다시 투입되게 된 것은 매우 안타깝지만, 앞으로 3년간 재정 낭비를 막아 4000억원을 구민들께 돌려드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심판론과 김 후보 책임론을 강조했다. 단식 후유증으로 입원 중인 이 대표는 이번주 중에 퇴원한 뒤 진교훈 후보를 지원 유세할 것으로 알려졌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강서구에서부터 윤석열 정부와 여당에 대한 심판이 시작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오는 6~7일 치러질 사전투표에 지지자들이 적극 참여해줄 것을 당부했다. 5일부터 선거일인 11일 사이 실시하는 강서구청장 여론조사 결과는 공표할 수 없다.
민주당은 김 후보가 “보궐선거 비용 40억원은 애교로 봐달라”라는 발언으로 설화에 휩싸인 점을 부각했다. 강선우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 ‘40억원은 애교’ 발언에 사과 한마디 없는 김 후보는 무개념, 몰상식으로 무장한 채 뻔뻔하게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배진교 원내대표도 이날 강서구에서 권수정 후보 지원 유세를 벌였다. 권혜인 진보당 후보도 종일 거리 유세를 했다.
김 후보와 진 후보, 권수정 후보는 첫 TV토론회에서 맞붙었다. 전날 진행돼 이날 방송된 토론회에서 김 후보는 진 후보가 전략공천을 받은 점을, 진 후보는 김 후보가 청와대 근무 시절 개인비리로 해임된 점을 공략했다. 권 후보는 “지긋지긋한 두 거대 정당의 부딪침을 강서에서 바꿔달라”고 호소했다.
여야가 총력전을 펴는 이유는 총선 6개월 전 수도권 민심을 확인할 바로미터일 수 있어서다. 추석연휴를 앞두고 이 대표 단식과 체포동의안 국회 본회의 가결, 법원의 구속영장 기각 등 굵직한 사안이 있었던 직후에 치러지는 선거라 이에 대한 유권자 인식을 가늠해볼 수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큰 격차로 패배하면 윤 대통령 의중에 따르느라 책임 있는 김 후보를 공천했다가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 대표는 리더십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전날 KBS 라디오에서 “(윤) 대통령이 먼저 (대통령)비서실을 싹 교체할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로 최대한 안 가려고 할 테지만 선거에서 지면 수도권 동요가 장난 아닐 것”이라고 했다. 반면 승리할 경우 정부·여당의 국정 운영에 힘이 붙을 수 있다.
민주당은 패하거나 접전 끝에 승리할 경우 이 대표 리더십에 또다시 손상이 불가피하다. 패배 시 이 대표 체제로 총선을 치를 수 있겠느냐는 당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 잠복한 친이재명(친명)계와 비이재명(비명)계 간 갈등 수위도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여유 있게 승리한다면 구속을 피한 이 대표는 당내 자신의 거취 논쟁을 잠재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대연·김윤나영 기자 hoan@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