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달 9일 서울 중구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에서 한 시민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야가 이달 말 끝나는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 활동 기한을 내년 5월까지 연장하기로 지난 2일 잠정 합의한 걸로 전해졌다. 6개월이던 활동 기한을 지난 4월 한 차례 연장했는데 또 한 번 연장했다.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등 쟁점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를 댔지만, 연금특위는 그걸 해보겠다고 6개월 연장했었다. 사실상 연금개혁을 내년 4월 총선 이후로 미루겠다고 공언한 것이나 다름없다.
연금개혁에 국민 동의를 얻는 과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도 더 이상 피해 갈 수는 없다. 국민연금 고갈 예상 시점은 2055년으로, 5년 전 예상보다 2년이나 앞당겨졌다. 한국은 세계에서 저출생·고령화 속도도 가장 빠른 나라이다. 그런데도 정부의 연금개혁은 1998년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9%로 올리고, 2008년 노무현 정부에서 소득대체율을 60%에서 50%로 내린 뒤 20년간 0.5%포인트씩 낮춰가는 로드맵을 세운 뒤로 멈춰서 있다. 역대 어느 정부도 ‘인기 없는’ 개혁을 추진하는 부담을 지지 않으려 했기 때문이다. 이 얼마나 무책임한 일인가. 지속 가능한 연금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개혁은 불가피하다.
윤석열 정부는 연금 개혁을 시급한 3대 개혁 과제로 잡았다. 그래놓곤 정부 자문기구인 재정계산위원회가 2093년까지 기금 유지를 목표로, ‘더 내고 늦게 받되, 못 받는 일은 없도록 한다’는 방향과 함께 18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 게 전부다. 그나마 최종안은 대통령 임기 마지막 해인 2027년에나 발표하겠다고 한다. 눈앞에 닥친 연금재앙을 정부도 국회도 손놓고 있는 것이다. “개혁이란 인기가 없어도 반드시 하겠다”고 했던 윤석열 대통령의 약속을 기억한다. 연금 개혁을 성공시키려면 윤 대통령 결단이 필요하다. 국회도 국민을 설득해 연금 개혁을 완수해야 한다.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