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의 공급 대책에도 신규 주택 부족 우려에 추석 이후 매매가격과 전셋값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세사기와 고금리 여파로 추락하던 전세가가 저점을 찍고 반등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허가와 착공 물량 감소로 향후 2~3년간 '전세 불안'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정부의 공급 대책에도 불구하고 신규 주택 부족 우려가 여전한 만큼 수도권 아파트 값도 당분간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매매가격과 전세가가 동반 상승세를 보이는 만큼 무주택자들은 청약을 내 집 마련 1순위 전략으로 세우는 가운데 급매물 매수도 함께 고려할 것을 조언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수도권 아파트 값도 연말까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보유세 부담 완화, 규제지역 해제 등 영향으로 수도권 위주로 아파트 값 상승 흐름이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2~3분기에 급매물이 소진된 영향으로 주택 거래는 다소 주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9월 들어 수도권 아파트 값이 상승세로 전환했지만 경기 침체 우려가 있는 만큼 추격 매수세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처럼 매매가격과 전세가 동반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무주택자가 내 집을 마련할 최적의 전략으로 '청약'을 꼽았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약은 지역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경우가 많고 정비사업지의 일반분양이면 입지도 좋을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청약 당첨이 보장되지 않는 만큼 지출 가능한 금액 내에서 기존 주택 매매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분양 물량이 5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도 무주택자들이 기존 주택 매매를 함께 고려해야 할 이유로 꼽힌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전국에 분양된 아파트 물량은 총 12만6345가구로 집계됐다. 올해 12월까지 분양 가능성이 있는 아파트 물량은 17만9000여 가구로 연간 최대 30만5000여 가구가 분양될 전망이다. 이는 2018년(29만9390가구) 이후 5년 만에 최저 수준이고, 지난해 물량(37만1000여 가구)보다는 17.8% 줄어든 것이다. 청약 시장은 수도권 주요 핵심 지역으로 매수세가 쏠리는 등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박 교수는 "수도권은 공급이 부족한 상태여서 우량 지역 위주로 청약 열기가 더 뜨거워질 수 있다"며 "지방은 미분양 부담이 큰 일부 지역을 제외한 창원, 청주, 전주 등 대도시가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분양가 상승도 청약 시장 열기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다주택자에 대해서는 보유 주택 정리를 추천하는 전문가가 많았다. 고 원장은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큰 만큼 보유 주택을 교체하는 '자산 재배분 전략'이 바람직하다"며 "성장 지역과 도심권에 위치한 주택은 보유하되 그렇지 않은 자산은 처분하거나 교체하는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 위원도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이 감내할 만한 수준이면 추가 규제 완화를 기다려보는 것이 좋다"면서도 "만약 매도에 따른 양도세 부담이 가능하면 기존 주택 매도 후 상급지 매수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유신 기자 / 정석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