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20대, 100명 중 1.3명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원인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영석 의원, "부모보다 더 빨리 늙는 세대, 젊은층 만성질환 관리체계 갖춰야"

파이낸셜뉴스

탕후루.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20대 100명 중 1.3명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 5년간 80세 미만 연령대 중 20대에서 당뇨 및 고혈압 환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만성질환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중 당뇨병으로 치료받은 환자 수가 약 4만2657명, 고혈압으로 치료받은 환자 수가 4만2798명이었다. 전체 20대 인구수 대비 1.3%가 당뇨병이나 고혈압으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었다.

같은 기간 대비 당뇨병 환자 증가율을 살펴보면 80세 미만 연령대 중 20대가 47.7%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60대가 31.1%, 10대가 26.6% 순서로 많이 증가했다. 한편 30대의 경우도 19% 증가했으며, 0~9세의 경우도 18.1% 증가하는 등 젊은층에서의 당뇨 환자 증가 추세가 뚜렷하게 확인됐다.

이는 최근의 탕후루 열풍, 미디어, SNS를 통한 '먹방', 달고 짜는 것을 번갈아 먹는다는 '단짠단짠' 등과 같은 젊은층 사이의 유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고혈압의 경우도 지난해 기준 5년 전과 대비해 20대의 환자 수가 30.2%로 80대 미만 환자 중 가장 많이 증가했다. 다음으로 60대가 25.1%, 30대가 19.6% 순서로 많이 증가했다. 10대의 경우 3.1% 감소한 반면, 0~9세의 경우 19.4% 늘었다. 이는 비만과 스트레스가 젊은층의 고혈압 유병률을 높이는 원인으로 해석되고 있다.

서 의원은 "당뇨병과 고혈압은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한번 발병하면 오랜 시간 지속된다"며 "노인층의 질환으로만 여겨졌던 만성질환이 젊은층에서 급속도로 환자가 늘고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당뇨병과 고혈압으로 인한 진료비만 한해 2조원이 넘는 상황에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 없도록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책임지고 젊은층의 만성질환을 관리체계를 갖춰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