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신성델타테크는 지난 6월30일 1만770원에서 지난달 27일 4만1600원으로 무려 286% 급등했다.
![]() |
국내 기업 퀀텀에너지연구소 등에 소속된 연구진이 개발했다고 하는 상온 초전도체의 모습. 자석 위에 몸체 일부가 떠 있다. 퀀텀에너지연구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성델타테크는 지난 7월 퀀텀에너지연구소 등 국내 연구진이 상온 초전도체 ‘LK-99’를 개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장중 6만8300원(8월23일 기준)까지 폭등했다. 하지만 한국초전도저온학회 검증위원회와 네이처 등이 ‘LK-99’의 초전도성에 회의론을 제기하자 급락세를 타기도 했다.
2위는 2차전지 관련주인 포스코DX로, 같은 기간 250%의 상승률(1만5450원→5만4200원)을 보였다. 포스코DX는 8월23일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상장폐지 승인안을 10월 임시 주주총회에 상정하기로 결의했다고 공시했고, 이후 유가증권 시장 이전을 통해 대규모 자금 유입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대심리로 투자 수요가 몰렸다.
3위는 비만치료제 관련 종목인 펩트론이 차지했다. 지난 6월말 1만1400원에서 지난달 27일 3만3650원으로 195% 상승했다.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심혈관 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 발표에 비만치료제 종목이 강세를 보이며 덩달아 올랐다.
다음은 케이엔솔(153.3%), 인벤티지랩(138.7%), 노을(130.8%), 금양(130%), 테크엔(128.5%), 스맥(128.3%), 모비스(127.3%) 등의 순이었다. 상승률 상위 10개 종목 중 2개는 초전도체, 2개는 비만치료제, 2개는 이차전지 관련 종목이었다.
반면 3분기 주가가 가장 많이 하락한 종목은 ‘5개 종목 하한가 사태’ 연관 종목인 대한방직이었다. 대한방직 주가는 지난 6월 말 3만8100원에서 지난달 27일 9730원으로 74% 하락했다.
2위는 위니아에이드로 지난 6월 말 5600원에서 이달 1549원으로 72% 하락했다. 위니아에이드는 지난달 법원에 경영난 등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가운데, 박현철 위니아전자 대표까지 직원 임금과 퇴직금 체불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면서 주가가 하락세를 보였다.
이어 오킨스전자(-71%), 엑스페릭스(-70.7%), 대유에이텍(-69.3%), 코다코(-69.1%), CR홀딩스(-66.3%), 동일산업(-66.1%), 파멥신(-63.3%), 테라사이언스(-62.4%) 등의 순으로 높은 하락률을 기록했다.
하락률 상위 10개 종목 중 3개는 자금난 등으로 인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개시하거나 경영권 분쟁 소송을 겪은 기업이었으며, 2개가 ‘5개 종목 하한가 사태’ 관련 종목이었다.
전문가들은 4분기 증시가 명확한 주도주가 없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재현 SK증권 연구원은 “4분기 코스피는 2400∼2650선에서 박스권을 유지할 것”이라며 “미국발 고금리 등 대외적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명확한 주도주 없이 테마 간 수급이 이동하는 모습이 계속될 것”이라고 했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