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가 장기화되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낮아지면서 서울을 포함한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가 하락세로 접어들었으나, 서울의 주택구입 부담은 적정치를 뛰어넘을만큼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
5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 지역. 성동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 주택금융공사에(HF) 따르면 지난 2분기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분기 165.2로, 1분기(175.5) 대비 10.3포인트 하락했다. 사상 최고를 기록했던 지난해 3분기(214.6) 이후 세 분기 연속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170대에 육박해 주택구입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소득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다. 지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가중된다는 뜻이다. 주택담보대출 상환으로 가구소득의 약 25%가 주담대 상환에 쓰일 때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00으로 산출된다.
2분기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165.2)대로라면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는 서울의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할때 소득의 41% 정도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써야 한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으로 여전히 금융당국의 규제 기준인 40%를 상회하는 것이다.
통상 서울의 경우 주택구입부담지수 130∼140(소득에서 주담대 상환 비중 33∼35%)를 적정선으로 간주한다.
지난 2분기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68.0으로 직전분기(71.9) 대비 3.9포인트 떨어지며 2021년 1분기(63.6)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이는 2분기 주담대 대출 금리가 4.3%로 전분기(4.4%) 대비 0.1%포인트 떨어진 반면, 가계소득은 같은 기간 585만4000원에서 598만5000원으로 2.2%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21년 4분기(83.5)부터 지난해 1분기(84.6)와 2분기(84.9), 3분기(89.3)까지 네 분기 연속 ‘사상 최고’를 경신했다. 주택가격이 하락하긴 했지만 지난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더 가파르게 상승한 탓이다.
정부가 부동산 연착륙 정책을 내놓고 대출 금리도 정점을 찍고 하락세로 접어들자 지난해 4분기(81.4) 들어서는 상승세가 꺾였다. 이후 올해 1분기와 2분기에도 하락세를 지속했지만, 가계대출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인만큼 이러한 하락세가 3분기에도 계속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지역별로는 서울에 이어 세종의 2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00.3으로 100을 넘겼다. 다음으로는 경기(88.0), 제주(82.7), 인천(72.4), 부산(71.7), 대전(67.6), 대구(62.2), 광주(57.3), 울산(53.0) 등이 뒤를 이었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