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경찰과 행정안전부

“독버섯 같은” 조폭 유튜버 또 늘어… 경찰 전수조사서 11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사·입건은 전무… ‘MZ조폭’ 문제도 심각

조직폭력배(조폭) 관련 콘텐츠를 주로 올리는 일명 ‘조폭 유튜버’가 지난해 최소 11명으로 파악됐다. 경찰이 2019년부터 시행 중인 전수조사 결과에서다. 이렇게 확인되는 조폭 유튜버는 꾸준히 늘고 있다. 모방범죄를 부추기고 불법을 미화하는 등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이런 콘텐츠들이 횡행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시·도경찰청이 지난해 9월7일부터 한 달 간 전수조사해 파악한 조폭 유튜버는 11명으로 집계됐다. 조폭 유튜버는 2019년 10월 전수조사 때 3명이었으나, 2020년(8월)과 2021년(4월)엔 7명으로 증가했고, 지난해 기준으로 다시 4명이 더 늘었다.

세계일보

지난해 12월 전국의 폭력조직 조직원들이 한 술집에서 ‘또래 모임’을 하고 있는 모습. 이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교류하고 세를 과시하면서 ‘MZ조폭’으로 불린다. 서울중앙지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건달’ 또는 ‘#깡패’라는 검색어를 입력해 검색해보면 건달이 되는 과정이나 어떻게 돈을 버는지 등을 알려주겠다는 내용이 담긴 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경찰은 외부 제보나 검색 등을 통해 의심 동영상을 모니터링하고, 범죄 무용담을 올리는 등 조폭 관련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올리는 채널을 조폭 유튜버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모니터링 과정에서 확인한 영상을 바탕으로 수사에 착수하거나 입건한 사례는 없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아울러 경찰은 전수조사를 통해 파악한 조폭 유튜버들의 구체적인 채널명은 공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들어선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세를 과시하고, 지역과 계파를 뛰어넘어 또래끼리 모이는 이른바 ‘MZ조폭’도 사회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5월까지 폭력행위 처벌법상 단체 등의 구성·활동 혐의를 적용받는 관리 대상 조폭과 이들과 공동으로 범행을 저지른 비조직원 1264명 중 30대 이하의 비중이 61.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10대 46명, 20대 372명, 30대 360명, 40대 349명, 50대 137명이었다.

정우택 의원은 “기업형·지능형으로 진화해 독버섯처럼 사회에 기생하고 국민의 고혈을 빠는 조폭을 완전히 뿌리 뽑을 때까지 강력하게 단속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신고·협조를 끌어내기 위한 안전장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