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3에서 바라본 여의도 증권가 [이승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형 증권사 9곳이 장애인 미고용으로 5년간 납부한 부담금이 25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의원(국민의힘)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형 증권사 9곳(KB, NH투자, 메리츠, 미래에셋, 삼성, 신한투자, 키움, 하나, 한국투자)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장애인 미고용으로 납부한 부담금 합계는 이처럼 집계됐다.
증권사별로 보면 한국투자가 47억8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하나 47억5000만원, 미래에셋 33억6000만원, NH투자 33억원, KB 31억원, 신한투자 24억1000만원, 키움 15억1000만원, 메리츠 13억8000만원, 삼성 5억3000만원 순이었다.
올해 6월 기준 증권사들의 평균 장애인 고용률은 고작 1.83%에 그쳤다. 특히 하나증권과 메리츠증권의 장애인 고용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증권은 의무 고용 인원 56명 중 12명만을 채용해 장애인 고용률이 0.66%에 그쳤고, 메리츠증권은 49명 중 13명을 채용해 0.82%에 불과했다.
다만 메리츠증권은 올해 9월 장애인 근로자를 17명 채용해 같은 달 기준 장애인 고용률이 2.95%가 됐다고 답했다.
대부분의 증권사는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지키지 않는 이유로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가 부족하다거나 채용에 적합한 장애인 인력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윤창현 의원은 “증권회사에는 자료 분석과 통계 처리 등 장애인도 훌륭하게 해낼 수 있는 많은 업무가 있다”면서 “장애인이 충분한 시간을 두고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전문 교육기관과 직업 정보를 공유하는 등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