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北 최선희 "유엔의 '핵 보유국 지위' 부정은 엄중한 주권 침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정당당한 주권 행사를 '도발'로 걸고 들어…노골적 내정 간섭"

"미국 제국주의 존재하는 한 핵보유는 운명적 선택"

뉴스1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9차 회의가 지난 26~27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개최됐다고 28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이번 회의에선 '핵무력 정책'을 북한 헌법에 명시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자국의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했다며 '주권 침해'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9월30일 자로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를 통해 "9월29일 미국과 그 추종 국가들은 유엔 안보리 비공개 협상을 소집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신성 불가침의 헌정 활동과 자위적 국방력 강화 조치를 비난하는 추태를 부렸다"라며 이렇게 밝혔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비확산과 북한'을 주제로 비공개 회의를 열었다. 회의의 구체적 논의 사항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 외무상의 담화 내용으로 봤을 때 북한이 지난달 26~27일 개최한 최고인민회의에서 핵무력 정책을 헌법에 명시하기로 한 것에 대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지 않는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최 외무상은 "정정당당한 주권 행사를 '도발'과 '위협'으로 걸고든 미국을 비롯한 적대세력들의 불법무도한 행태를 공화국의 자주권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주권 국가의 내정에 대한 노골적인 간섭으로 낙인하며 강력히 규탄배격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공화국의 '정권 종말'을 국책으로 선포하고 조선반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파괴하는 군사적 도발을 끊임없이 자행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철저히 외면하면서도 우리 국가의 합법적인 주권적 권리 행사에 대해서만 문제시 하는 것은 극단적 이중기준"이라고 비판했다.

최 외무상은 핵보유국을 헌법에 명시한 것이 "국가 방위력 강화와 국위 제고를 위한 역사적 과정에서의 필연적 귀결"이라며 "단순히 국가최고법전의 조항을 수정보충하는 개헌 사업이 아니라 공화국의 부강번영을 위한 만년지계를 담보하고 핵주권 수호의 강력한 법적 무기를 마련했다는데 중대 의의가 있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반세기 이상 지속된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끊임없는 반공화국 핵위협이 공화국의 핵보유를 촉발하고 핵무력 강화의 부단한 전진 과정을 추동한 결정적 요인이 돼왔다는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할수 없다"라며 핵보유의 원인을 미국으로 돌렸다.

이어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공화국에 대한 핵무기 사용을 정책화, 제도화하는 데 대처해 국가 안전보장에서 핵의 역할을 강화하고 그 법적, 제도적 지위를 공고히 하는 것은 그 누구도 시비할 수 없는 주권국가의 자주적 권리"라며 "미국이라는 제국주의 실체가 존재하는 한 핵보유는 우리 국가의 운명적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을 비롯한 적대세력들이 비핵화를 강요하면서 핵보유국으로서의 우리의 헌법적 지위를 부정하거나 침탈하려든다면 그것은 곧 헌법 포기, 제도 포기를 강요하는 가장 엄중한 주권 침해, 위헌 행위"라며 "신성한 주권적 권리들을 찬탈하려는 적대 세력들의 온갖 기도를 가장 강력하고 압도적인 대응력으로 억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kuko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