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지난주(17~23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0만 4000건을 기록해 예상치보다 1만건 낮게 집계됐다. 중앙은행이 지목한 경제가 건실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내주부터 정부폐쇄(셧다운)가 시작되면 수당지급이 대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정치 리스크가 고금리를 버텨온 경제로 파급될 조짐이라는 지적이다.
28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 고용통계국에 따르면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최근 석달새 7월 중순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7월에 26만건을 상회했던 건수는 8월 들어 여름휴가 시즌에 22만건으로 급락하다가 다시 25만건까지 증가한 후 최근 20만건 초반까지 떨어졌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67만건으로 전주에 비해 1만2000건 정도 늘었다. 미국의 실업률은 지난 8월 기준 3.8%로 전월 3.5% 대비 0.3%p 증가하면서 우려를 낳았지만 9월 지표 예상은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나오고 있다.
노동시장은 견고하지만 문제는 정부발 리스크다. 여야가 대립하면서 의회는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2024회계연도 정부 자금 지원을 합의하지 않고 있다. 정부폐쇄가 10월부터 부분적으로 이뤄질 경우 연방정부로부터 실업수당을 받아왔던 백만명 이상의 실업자들이 수당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노동부는 내달 6일로 예정된 9월 고용보고서와 12일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가 발표되지 않을 수 있고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데이터도 나오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에 따르면 정부 관계자는 "고용통계국의 서비스가 대부분 중단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번 셧다운으로 인해 경제성장률이 매주 0.15%p 떨어지고 민간부문까지 포함하면 매주 0.2%p 하락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박준식 특파원 win0479@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